"부마 민주항쟁의 숭고한 뜻에 경의를 표한다."(박근혜 새누리당 후보의 이상일 대변인) "부마항쟁 기념일을 맞아 역사를 바로잡아야 한다."(문재인 민주통합당 후보의 진성준 대변인) "부마항쟁 희생에 대해 국민과 국가가 위로하는 하루가 되길 기대한다."(안철수 무소속 후보의 유민영 대변인)
부마항쟁 33주년인 16일 대선 후보들의 '입'들은 앞다퉈 이를 기리는 논평을 쏟아냈다. 여야가 논평을 낸 것 자체는 따질 일이 아니다. 문제는 그간 부마항쟁에 인색하리만큼 논평 한 줄 내지 않았던 여야 정치권이 일제히 부마항쟁을 '칭송'하고 나선 대목이다.
새누리당 홈페이지를 보면 지난 5년 간 같은 날에 대변인 브리핑에서 부마항쟁의 '부'자도 찾을 수 없다. 2009년 10월 16일 주요 당직자회의에서 공개적으로 '부마항쟁'을 거론한 당직자는 없었다. 지난해 10월 16일 민주통합당의 논평ㆍ브리핑 6건 중 4건은 서울시장 보선, 나머지 2건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과 각각 관련된 것이었다.
각 대선 후보 측이 과거와 달리 부마항쟁에 대해 각별한 관심을 표시한 것은 12월 대선과 무관치 않은 것으로 보인다. 부산ㆍ경남(PK) 지역이 올해 대선의 주요 승부처로 부상했기 때문이다. 정치권 일부에선 "부마항쟁 정신 계승보다는 PK 표심 다독이기에 목적이 있는 것 같다"는 얘기도 나온다. 이 대변인 논평에서 부마항쟁 관계자들의 명예회복에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는 '박 후보의 약속'을 강조한 것이나 진 대변인 논평이 '부마항쟁'보다는 '박정희 군사정권' '정수장학회' 등 상대 후보를 겨냥한 단어로 도배한 것도 이를 증명한다.
국회의 입법 움직임을 되돌아 보더라도 정치권의 진정성을 의심케 한다. 부산 출신인 민주통합당 조경태 의원이 지난해 7월 '부마민주항쟁 진상규명 및 관련자 명예회복과 예우에 관한 특별법'을 대표 발의했지만 제대로 논의조차 이뤄지지 못하다가 임기 만료로 자동 폐기된 것이 대표적이다. 대선 후보라면 벼락치기식 역사 논평으로 표를 호소할 게 아니라 진정성 있는 자세로 역사와 마주해야 한다.
장재용 정치부기자 jyjang@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