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사색의 향기/10월 12일] 꼭 같은 것보다 다 다른 것이 좋아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사색의 향기/10월 12일] 꼭 같은 것보다 다 다른 것이 좋아

입력
2012.10.11 12:00
0 0

며칠 전 경기 동두천에 강의를 하러 갈 일이 있어서 전철을 탔다. 동두천에 닿으려면 종로 3가역에서 족히 한 시간은 넘게 가야한다. 다행히 두어 정거장 지났을 때 내 앞에 앉아있던 분이 일어서기에 내가 거기 앉을 수 있었다. 안 그래도 일산에서부터 전철을 타고 내려온 터라 다리가 뻣뻣해지는 느낌이었는데 다행이다 생각하며 앉아 갖고 있던 책을 펼쳐 읽었다.

그때 내 옆에 앉아계시던 아주머니가 말을 걸어왔다. 나이는 어림잡아 예순 정도 돼 보였다. 내가 깨알같이 작은 글씨가 박힌 문고본 책을 읽고 있으니까 신기했던 모양이다. 처음에는 왜 그렇게 작은 책을 읽느냐, 글씨가 보이기는 하느냐 물어오기에 글씨 보기는 좀 힘들지만 책 크기가 작고 가벼워서 늘 갖고 다니기 좋기 때문이라고 대답했다.

아주머니는 처음엔 그러냐고 하면서 수긍하는가 싶더니 이내 뭣이 맘에 안 드는 것인 양 자기 생각을 말하기 시작했다. 공부하는 책도 아닌 거 같은데 뭘 그리 열심히 보냐는 것이다. 내가 그 말이 별 반응을 보이지 않으니까 아주머니는 일장 연설을 시작했다. 자기는 아들과 딸이 각각 몇 씩 있는데 다들 시키지 않아도 공부를 잘해, 지금은 대기업에 다니며 돈도 많이 번다는 말이다. 말을 하다 보니, 지금 이 나라가 시끄럽고 경제가 어렵게 된 것이 모두 젊은 사람들에게 너무 자유를 줬기 때문이라는 것으로 끝이 났다.

무척 황당하게도, 아주머니 말씀을 간추려보면 이렇다. 젊은이들이 자꾸만 개성을 찾다보니 사회가 제멋대로 흘러간다는 것. 상식에 비추어 생각해봐도 다 함께 한길로 가면 더 빨리, 아무 문제없이 가지 않겠느냐는 것이다. 파업이나 시위를 하는 것도 다 나쁜 일이라고 말한다. 이 얼마나 겁나는 말인가. 동두천까지 가는 동안 끊어지다 이어지다 하면서 아주머니와 이런 얘길 나누고 나서 강의 시간에 방금 있었던 일을 예로 들며 책 한 권을 사람들에게 소개했다. 윤구병 선생님이 지은 이다.

내가 이 책을 읽은 것은 아주 오래 전 일이고 2004년에 표지를 새로이 만들어 나왔을 때도 다시 구해서 읽었지만 여전히 큰 울림으로 남는 글이다. 내용은 윤구병 선생님이 아이들에게 보내는 편지, 그리고 자기들끼리 주고받은 짧은 글들로 엮은 것인데, 그렇다고 반드시 아이들만 읽는 책이 아니다. 오히려 어른들이 더 진지하게 읽어야 될 책이다.

책 제목에 모든 게 다 들어있다. 우리들은 때로 한 방향만 바라보게 만드는 애꿎은 가르침 때문에, 큰 권력이나 인기를 가진 사람이 된다거나 돈 많이 주는 직장에 취직해야 한다는 몇 가지 목표만 가장 뛰어난 것으로 여긴다. 그렇게 되어야만 이 사회 속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고 하면서, 어쩔 수 없는 노릇이라며 자위할 때도 있다. 하지만 정말로 그렇게 되었을 때를 상상해본다면 얼마나 끔찍한 것인지 금방 알 수 있다. 모든 사람이 다 똑같이 행동하고, 획일적인 생각에 사로잡혀있으며, 개성이 무시되고, 심지어 머리모양이나 옷 입는 것마저 똑같이 맞추도록 강요된 사회를, 우리는 미래세계를 그린 책이나 영화에서 흔히 본다. 개성이 없는 세상은 그런 모습과 다르지 않다.

사람도 자연의 일부이기 때문에 우리는 늘 자연을 보면서 삶을 이해하고 그 안에서 배워야한다. 자연은 늘 똑같은 것 같지만 사실 저희들끼리 어울려 좋은 것을 배우고 닮아가기도 한다. 하지만 만물의 영장이라 으스대는 사람을 보고 배우지는 않는 것 같다. 쉽게 생각하면 다 똑같은 말을 하거나 같은 길로 몰려가는 게 행복을 위한 일처럼 보인다. 그러나 그것은 단지 몇 사람만 잘 살도록 할 뿐이다. 모두 다 행복하려면 저마다 다 다른 것이 좋다. 한 나무에서 자라 가을바람에 흔들리다 떨어지는 갈색 잎사귀도 잘 보면 다 제각각으로 생긴 것처럼 행복은 저마다 다 다르기 때문에 소중하다. 윤구병 선생님의 글을 조용히 읽어본다.

"그러나 살아 있는 것은 하나도 똑같은 것이 없어. 하다못해 서울운동장의 축구장에 깔린 잔디 잎들마저 꼼꼼하게 들여다보면 하나도 꼭 같은 것은 없어. 우리 아파트 뒷산 솔숲의 소나무 잎사귀도 자세히 견주어 볼라치면 하나도 똑같은 것은 없어. 너희들도, 너희들 가운데 일란성 쌍둥이도 모두 다르지."

윤성근 이상한 나라의 헌책방 대표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