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근로자들은 정년보다 3년 이른 54세에 퇴직한 뒤 다시 경제활동에 참여해 68세에 최종 은퇴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회예산정책처가 25일 발간한 '고령자 일자리 현황과 정책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300명 이상 사업장의 정년은 55세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58세였다. 이를 단순 평균하면 평균정년은 57.35세다. 그러나 실제 퇴직 연령은 54.1세로, 평균정년보다 3년가량 짧았다. 이들은 이후 14년간 경제활동을 더 한 뒤 최종적으로 68세에 은퇴했다.
퇴직자들의 노후보장 수준은 미흡했다. 55~59세 퇴직자의 평균 총자산은 4억1,686만원으로 이 중 78.6%가 부동산이었다. 당장 현금화가 쉽지 않아 자식들의 용돈 등 사적 이전소득에 의존할 가능성이 크다는 뜻이다.
국민연금의 혜택을 받는 50대 인구는 약 50%에 불과했다. 노령연금을 받는 연령인 60~64세 중 국민연금을 받는 이는 49.2%에 그쳤다. 55~79세가 공적ㆍ개인연금을 받는 액수는 월평균 38만원에 불과했다. 결국 은퇴 뒤 다시 일할 수밖에 없는 처지가 되는 셈인데, 상당수는 자영업에 뛰어들었다. 55~64세 취업자 중 자영업자는 작년 1월과 비교해 올해 6월 29만명이나 늘어났다. 농림ㆍ어업(18만명)을 제외하면 운수업(3만명), 숙박ㆍ음식점업(2만4천명)에서 많이 늘었다.
국회예산정책처는 고령자 대상의 맞춤형 창업지원 정책을 강화하고, 폐업 등에 대비한 고용보험 기능을 확대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변태섭기자 libertas@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