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자살률이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 중 8년 째 1위를 기록하고 있다는 우울한 소식이 어제 '세계 자살 예방의 날'에 맞춰 전해졌다. 2010년 자살로 사망한 사람은 1만5,566명으로 인구 10만 명당 31.2명 꼴이다. OECD 회원국 평균치인 12.8명의 2.4배에 달하는 수치다. 더 심각한 것은 자살 증가속도가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을 만큼 빠르다는 점이다. 10만 명당 자살률이 10명을 넘은 것이 1995년인데 20명대로 뛰어오른 것은 8년 만인 2003년이었다. 30명대로 늘어난 것은 또 불과 6년 후인 2009년이었다. OECD 회원국의 평균 자살률은 감소추세인데 우리는 줄곧 가파르게 치솟고 있으니 보통 심각한 문제가 아니다.
자살 증가의 원인을 단정하기는 어렵지만 개인적이라기보다는 사회병리적인 현상임은 분명하다. 자살 충동 이유를 보면 10대는 성적과 진학에 대한 고민이, 20대부터 50대는 경제적 어려움 때문으로 조사됐다. 60대 이상에서는 생활고와 만성 질환을 지목했다. 승자독식의 치열한 경쟁과 사회양극화로 인한 빈부격차와 상대적 빈곤이 자살 증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자살은 사회 전체가 경각심을 갖고 풀어가야 할 과제다. 정부는 자살을 막기 위한 종합적인 대책과 예방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 법과 제도의 정비는 물론 예산도 적극 뒷받침돼야 한다. 일본의 경우 자살 예방에 연간 3,000억 원 이상을 투입하는데 우리는 고작 20억 원 정도다. 빈곤층과 사회적 약자를 위한 안전망을 한층 강화해야 함도 물론이다.
덧붙여 언론의 역할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동아대 의대 연구팀이 2008년 탤런트 최진실씨와 2009년 노무현 전 대통령 자살 이후 60일 동안 부산지역 4개 대학병원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자해ㆍ자살 시도자가 크게 늘어난 사실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유명인 자살에 영향을 받아 모방자살이 증가하는 '베르테르 효과'의 가장 큰 요인은 언론의 자극적인 보도라는 게 정설인 만큼 보다 세심하고 신중한 보도가 필요하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