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안산의 김모(27ㆍ여)씨는 대학 3학년 때인 2009년 창업을 했다. 취업난이 심각한데다 당시 택시 운전을 하던 아버지가 지병으로 쓰러진 게 창업을 결심한 계기였다. 2개월간 네일아트 학원을 다닌 뒤 대출을 받아 가게를 열었지만 장사가 안돼 7개월 만에 접었다. 이후 이동식 카페로 업종을 변경했으나 경험 부족으로 또 다시 실패했다. 김씨는 창업 과정에서 빌린 돈을 갚느라 아르바이트를 전전하고 있다. 그는 “경영 노하우가 없는데다 섣부르게 아이템을 정한 게 패착이었다”며 “청년 창업자를 위한 체계적인 지원 프로그램이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4면
심각한 청년 취업난의 대안으로 청년창업이 각광받고 있지만, 실효성 있는 지원 프로그램의 미비로 성공률은 극히 저조하다.
27일 기획재정부 등에 따르면 정부와 자치단체는 ‘청년실업’과 ‘일자리 창출’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 각종 창업 지원책을 쏟아내고 있다. 대선을 앞둔 정치권은 청년창업 지원을 주요 공약으로 내세웠고, 민간기업들도 경진대회 등을 열어 청년창업을 간접 지원하고 있다.
실제 신용보증기금과 기술보증기금의 청년창업 특례 보증 규모는 급증세다. 7월 말 현재 신보와 기보의 청년창업 지원 규모는 각각 3,081억원(6,292건)과 3,236억원(2,609건). 이는 지난해 전체 규모인 3,512억원(9,851건)과 3,623억원(3,062건)에 육박한다.
이렇듯 창업 지원이 봇물을 이루지만, 3년 이상 사업체를 유지하는 비율은 20~30%에 불과한 게 현실이다. ‘청년창업 1,000프로젝트’를 운영하는 서울시 청년창업센터에 따르면 1, 2기 졸업생 1,728명 중 840명(48.6%)만 기업을 유지하고 있다. 이들이 창업한 지 1~2년에 불과해 폐업 사례는 더욱 늘어날 수밖에 없다. 이순배 중소기업청 창업진흥과 사무관은 “실제 3년 이상 사업체를 유지하는 비율은 10개 중 2~3개에 불과할 정도로 성공률이 낮다”고 전했다.
성인들의 전문화된 창업도 성공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경험이 적고 자금력이 부족한 청년들이 성공하기란 쉽지 않은 만큼, 정부가 청년층의 특성에 맞는 세밀하고 실질적인 지원 프로그램을 고민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전형우(고려대 정치외교학3) 인턴기자
이지영(이화여대 언론정보학3) 인턴기자
이대혁기자 selected@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