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9월 추석연휴에 쏟아진 집중호우로 서울시내 9,419가구가 침수되는 등 큰 피해가 발생하자 오세훈 서울시장은 빗물 펌프장 41곳과 저류조 8개소를 증설하고, 하수관거와 펌프시설을 30년만에 한번 올만한 큰 비(시간당 95㎜)에도 견딜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발표했다.
#2011년 7월 서울지역에 이틀간 400㎜가 넘는 폭우가 내려 도심이 마비되고, 우면산 산사태로 17명이 사망하자 오 시장은 시민들에게 사과하고, 향후 5년간 10조원을 투입해 서울을 시간당 100㎜의 비에도 견딜 수 있는 수준으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2012년 8월 서울지역에 시간당 60㎜의 폭우가 쏟아지자 강남역, 사당역, 신도림역 인근 도로가 침수됐다. 앞서 서울시는 지난해 9월과 12월, 올 3월 3차례에 걸쳐 전문가와 시민들의 의견을 듣는 수방정책 대토론회를 열었지만 여전히 침수 방지대책을 확정 짓지 못하고 있다.
서울시가 해마다 침수 피해가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근본적인 수해방지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어 시민들의 비난이 쇄도하고 있다.
20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강남역 주변 침수와 관련해 교대역~강남고속터미널 구간에 하수관거를 설치해 빗물의 흐름을 분산시키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시가 방안을 확정해 내년부터 사업을 추진하더라도 설계와 시공에만 3년이 소요돼 당분간은 폭우가 쏟아질 경우 침수 피해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시는 임시방편으로 내년 5월까지 용허리 공원에 대규모 저류조를 설치해 피해를 줄이겠다는 계획이지만 이 역시 시간당 70㎜의 비까지만 감당할 수 있는 규모여서 그 이상 비가 오면 피해가 예상된다.
또 서울시가 상습침수지역으로 관리하고 있는 34곳 가운데 대심도터널 공사가 확정된 신월 지역을 제외하고는 근본적인 대책이 마련돼 있지 않은 상태다.
국립방재연구소장을 지낸 조원철 연세대 교수는 “80년대 중반부터 대심도터널을 건설해 침수피해의 근본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제안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면서 “당시 150억원이면 건립이 가능했지만 지금은 땅값이 오른데다 지하에 지하철, 전기, 가스, 통신시설 등이 밀집해 있어 1,500억원이 들어가도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시간이 지체될수록 비용이 늘어나기 때문에 서울시가 빨리 사회적 합의를 유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반면 서울환경운동연합 관계자는 “녹지를 확충하고, 빗물이 지하로 잘 스며들 수 있도록 보도블록과 도로의 투수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시간이 걸리더라도 대책의 올바른 방향을 잡아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서울시 관계자는 “2010년, 2011년에는 대책이 급하게 나온 측면이 있다”면서 “수방대책과 관련 환경단체로부터 여러 의견이 제기돼 진지하게 검토하고 있는 중이며 조만간 확정된 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준규기자 manbok@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