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대선 후보 경선을 불과 2주 가량 앞둔 가운데 비박(非朴) 진영 주자들이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에게 후보 사퇴를 주장하고 나서는 극단적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공천헌금 의혹과 관련해 당시 비상대책위원장인 박 전 위원장이 책임지고 후보를 사퇴하란 것이 이들 주장의 요체다.
설령 의혹이 사실로 드러나더라도 박 전 위원장이 후보직을 사퇴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 하지만 비박 주자들은 여전히 '후보 사퇴론' 설파에 열을 올리고 있다.
이 같은 유력 후보에 대한 당내 경쟁 그룹의 후보 사퇴 주장은 비단 이번 대선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1997년 15대 대선에서 신한국당 대선 후보로 이회창 의원이 확정된 이후 야권을 중심으로 이 후보의 두 아들 병역 면제와 관련한 비리 의혹이 제기됐다. 한때 50%까지 치솟았던 이 후보의 지지율은 20%대까지 추락했다. 이인제 후보는 "흠이 있는 인물로는 정권을 재창출할 수 없다"며 후보 교체론을 들고 나왔고, 일부 소속 의원들도 후보교체를 위한 서명 작업을 벌였다.
2002년 새천년민주당도 노무현 후보를 선출해 놓고도 지지율 하락에 따른 후보 교체론이 한동안 지속됐다. 노 후보 개인적으로는 김영삼 전 대통령을 방문한 것이 지지율 하락의 한 원인이 됐다. 여기에 2002년 월드컵 4강 신화로 정몽준 의원의 지지율이 급상승하면서 노 후보의 지지율이 10%대까지 떨어지자 후보 교체론은 더욱 힘을 받았다.
2007년 8월 한나라당 대선 후보 경선 때는 경쟁자였던 박근혜 후보 측 등 당내 일각에서 BBK 의혹을 고리로 이명박 후보 사퇴론을 제기한 적이 있다. 본선에서 후보 자격에 문제가 생기면 한나라당은 후보를 내지 못한 채 대선을 치른다는 주장이 골자였다.
이렇듯 역대 대선마다 제기된 후보 사퇴론은 대부분 경쟁 진영의 유력 후보 흔들기 차원에서 진행된 경향이 짙다. 실제 후보 사퇴로 이어지지 않더라도 탈당이나 독자 세력 구축을 위한 전기를 마련할 수 있는 데다 유력 후보와의 협상 등을 통해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확대할 수 있는 호기가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번 후보 사퇴론은 비박 주자들이 워낙 박 전 위원장과 격차가 크다 보니 보다 강도 높은 공세를 통해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강화해 보자는 성격"이라면서도 "그러나 한편으론 박 전 위원장이 그간 오픈프라이머리 도입 등 비박 주자들의 의견을 묵살하며 경선을 이끌어 온 데 대한 반발심도 포함돼 있을 것"이라고 입을 모은다.
박석원기자 spark@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