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0년 새 서울시 전체의 사망률은 크게 줄었으나 강남과 강북간 사망률 격차는 더 커졌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서울시가 25개 자치구별로 인구 10만명당 연간사망률을 분석한 결과,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가 사망률이 낮은 1~3위를 휩쓸었다. 반면 사망률이 높은 자치구는 중랑구, 금천구, 동대문구, 강북구, 노원구 순으로 강북지역과 저소득층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이었다. 더 심각한 문제는 이러한 격차가 10년 전과 비교해 더욱 커졌다는 점이다. 예컨대 중랑구 사망률은 2000년에는 서초구에 비해 30% 높았으나 10년 후인 2010년에는 43%로 높아졌다.
소득양극화가 건강양극화로 이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소득과 지위 등 사회경제적 차이가 건강격차와 상관관계가 있다는 학설은 이미 정설로 굳어져 있다. 지난 2008년 질병관리본부 조사를 보면 강북구와 서초구 주민들에게 최근 1년간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받지 못한 이유를 물었더니 "돈이 없어서"라고 답한 비율이 서초구는 26.6%, 강북구는 50.2%였다. 두 지역은 흡연율(강북구 27%, 서초구 19.9%), 비만율(22.3%, 18.9%), 고위험 음주율(19.9%, 12.7%)에서도 차이를 보였다. 이는 만성질환 차이로 이어져 고혈압(18.3%, 16.2%), 당뇨병(7.2%, 5.1%), 관절염(20.7%, 8.9%) 등에서 강북구가 서초구보다 비율이 높았다. 하지만 정작 병원방문은 서초구민이 훨씬 많았다. 경제적 여유가 있는 계층이 건강검진을 받거나 병원에서 질 높은 치료를 받을 기회가 많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건강양극화는 인간의 가장 기본적 권리인 생명권 보장의 문제로 봐야 한다. 서울시는 취약지역 보건지소 증설, 무상예방접종 확대 등의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으나 서울시에만 맡겨 둘게 아니다. 강남ㆍ북은 물론 도시와 농촌 등 지역간, 계층간 건강불평등 문제는 중앙정부 차원에서 접근하는 게 옳다. 돈 없는 것도 서러운데 건강까지 차별 받는다는 생각이 들지 않도록 세심히 배려해야 진정한 복지사회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