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은 4ㆍ11 총선을 거치면서 '이명박당'에서 '박근혜당'으로 탈바꿈했다. 공천 과정에서 인위적인 물갈이도 일부 작용했지만, 본질적으로 이명박 정부의 실정에 따른 친이 책임론, 패배 전망 속에서 총선 승리를 일궈낸 박근혜 비대위원장의 역량에 따른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이재오 정몽준 의원 등 몇몇 중진들을 제외하면, 당선자의 80%가 친박이라는 말까지 나오고 있다.
이제 박 위원장은 명실상부하게 당의 전권을 쥐고 대선으로 나아갈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 셈이다. 그러나 막강한 세력이 독이 될 수도 있다. 당장 박 위원장의 측근들 사이에 알력이 생기고 대표와 원내대표, 사무총장 자리가 친박들로 채워진 명단이 나돌 지경에 이르렀다. 박 위원장이 "이러다가 또 한 번 국민 심판을 받는다"고 일갈, 당내 불협화음을 일단 잠재웠지만, "새누리당이 오만해졌다"는 비판 여론은 이미 널리 퍼진 상황이다.
물론 손발이 맞는 지도부를 구축해야 효율성이 높을 것이다. 책임론의 대상인 친이를 중용하기도 어려울 것이다. 평소처럼 경선의 자율성을 강조하는 원칙론을 취하더라도 지도부는 친박 일색으로 짜일 공산이 크다. 그래도 그에 따른 불만과 비판은 박 위원장한테 날아올 것이다. 그것은 총선 이전과는 달리 박 위원장이 이제 권력자가 됐다는 의미이며, 국민들도 이제는 비주류의 수장이 아닌 가장 유력한 대선주자로 보고 엄격한 잣대를 들이대고 있다.
따라서 박 위원장은 크게 달라져야 한다. 스스로 정한 원칙만 지키면 된다는 식이 아니라 더 큰 소통과 포용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당내 문제인 지도부 구성, 대선후보 경선 룰 협상에서 모두 다 양보할 수는 없지만 유연성을 보이는 것이 필요하며, 정국현안 중 하나인 국회선진화법 처리에서도 대승적인 타협을 이뤄내야 한다. 더욱이 국회선진화법은 여야 합의로 도출된 것이었고, 그 동안 정부가 국회를 통법부로 생각해 충분한 여론 수렴도 없이 법안을 내놓는 경우가 허다했다. 약속도 지키고, 정치의 수준도 높이고, 오만하지 않은 지도자상을 보이기 위해서라도 박 위원장이 통 큰 소통과 포용의 행보를 하기를 바란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