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18대 총선 결과를 보면 영ㆍ호남 지역의 텃밭 정당 선호 강도는 당시의 정치적 상황에 따라 상당히 달라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대체로 정권 교체 전후기에 지역주의 경향이 더 강하게 나타났다.
대표적인 경우가 15 ∙16대 총선이다. 김대중 당시 총재가 1995년 정계 복귀를 선언하면서 창당한 새정치국민회의는 1996년 실시된 15대 총선에서 호남권 전체 37석 중 36석을 차지했다. 당시 전북 군산을 지역만 여당인 신한국당 강현욱 후보에게 내줬다.
이듬해 치러진 1997년 대선에서 김대중 후보가 당선됐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텃밭 정당의 집권 가능성이 높은 시기에 지역주의 현상도 심화됐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반면 1998년 김대중 전 대통령의 집권 이후 실시된 16대 총선에서는 호남권의 지역주의는 다소 완화됐지만 영남권의 지역주의가 가장 심하게 나타났다. 당시 야당인 한나라당은 영남권 전체 65석 중 64석을 차지했다. 대구(11석) 경북(16석) 부산(17석) 경남(16석) 등에서 모든 의석을 차지하고 울산 동구만 무소속 정몽준 후보에게 빼앗겼다.
김영삼 전 대통령 집권 시절인 1996년에 치러진 15대 총선에서 신한국당은 영남권 전체 의석 76석 중 67.1%인 51석을 얻는 데 그쳤다. 김영삼 정부 시절 박철언 전 의원 등 대구∙경북(TK) 출신 일부 인사가 사법처리 대상이 되고, 김종필 전 총리가 자민련을 창당하면서 자민련∙무소속 바람이 불었기 때문이다. 당시 TK 지역에서는 자민련(10석)과 무소속(8석)을 합친 의석이 신한국당(13석)보다 많았다. 2008년 18대 총선에서는 여권의 공천 갈등에 따른 친박연대∙무소속 바람은 영남권에서 한나라당의 의석 점유율을 67.6%로 낮추는 데 촉매 역할을 했다.
정치 상황에 따라 지역주의 강도가 달라지는 현상이 올해 총선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인지에 대해선 엇갈린 분석이 있다. "이번에는 야권의 대다수 유력 대선주자들도 호남권 출신이 아니기 때문에 지역주의가 더 약화될 것"이라는 분석도 있으나 "대선을 앞두고 있어서 표심이 결집하게 돼 지역주의 완화 추세에 제동이 걸릴 것"이란 반론도 있다.
김성환기자 bluebird@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