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당이 모바일 경선에 발목 잡히는 형국이다. 지난 1월 지도부를 뽑는 전당대회에 모바일 경선을 도입, 흥행몰이를 했지만 4ㆍ11총선 후보를 뽑기 위한 모바일 경선은 선거인단 불법 모집논란으로 오히려 부담이 되고 있다. 선거인단 모집책 투신자살 사건이 일어난 광주 동구에 이어 광주 북갑과 북을, 전남 장성, 전북 김제ㆍ완주 등 호남의 여러 지역이 문제가 되고 있고, 경기 광명갑에서도 광명시장 출신인 백재현 의원이 시 공무원들에게 선거인단 모집을 부탁하는 문자를 보냈다는 고발이 선관위에 접수된 상태다.
진상조사에 나선 민주당은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그러나 어제 선거인단 모집을 마감한 마당에 모바일 선거를 포기하고 과거처럼 당원ㆍ대의원의 현장 투표만으로 경선을 치르기도 어려운 형편이다. 모바일 경선의 장점도 적지 않다. 젊은 층의 정치적 관심과 참여를 확대하고 기성정치인에 유리한 당원ㆍ대의원 선거와는 달리 정치신인에게도 공정한 경쟁의 기회를 주는 긍정적 측면은 결코 과소평가할 수 없다.
그러나 아무리 좋은 제도라도 현실에서 불법적으로 악용되면 그냥 넘어갈 수는 없다. 모바일 경선은 단순히 동원의 불법성만 문제되는 게 아니라, 대리 등록과 대리 투표 가능성이 있다는 게 더 큰 문제다. 모바일에 익숙하지 않은 노인들을 대신해 누군가 등록, 대리 투표를 해도 검증할 방법이 없는 것이다. 이는 민주주의 선거의 직접ㆍ비밀투표 원칙에 위배되는 것이다.
학계에서는 불법동원, 대리투표 등 검증하지 못하는 영역이 존재하는 한 없앨 수밖에 없다는 폐지론도 나오고, 다 죽어가는 정당정치에 국민적 관심과 열기를 불어넣어준 제도인 만큼 약점을 보완하자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특히 모집단이 큰 전당대회처럼 동원의 영향력이 적은 전국 단위 선거에서는 모바일 선거가 유용하다는 견해도 적지 않다.
민주당은 이런 논란에 답할 책임이 있다. 우선 철저한 진상조사를 거쳐 엄정한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다. 궁극적으로는 약점을 보완한 대안을 내놓아야 한다. 그런 노력이 정치쇄신의 실천이고, 선거에서 국민 지지를 얻을 수 있는 길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