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정치적으로 대단히 민감한 사건들에 대해 잇달아 수사에 나서면서 의혹 섞인 여러 해석을 낳고 있다. 우선 눈총을 받고 있는 것이 노무현 전 대통령의 딸 정연씨의 미국 아파트 매입대금 13억 원 밀반출 의혹에 대한 수사다. 대검 중수부가 직접 나서 박연차 전 태광실업 회장을 조사하고 아파트주인 경모씨에게 소환을 통보하는 등 발 빠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 당초 검찰이 밝혔듯 고발에 따른 사실 확인 차원의 조사라기보다는 본격수사 모양새에 가깝다.
검찰이 저축은행 비리 의혹과 관련된 이상득 새누리당 의원을 주요 수사대상에 올려놓은 사실도 확인됐다. 그 동안 이국철 SLS 회장, 김학인 한국방송예술진흥원 이사장 등에 대한 수사에서 이 의원을 둘러싼 의혹이 숱하게 제기돼왔을 때나, 또 최근 이 의원 여비서의 계좌에서 출처 불명의 7억 원이 발견됐을 때도 왠지 미온적인 태도를 보였던 것과는 사뭇 달라진 모습이다. 중수부 산하 정부합동수사단 관계자는 이 의원 수사에 대해 "정의로운 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이례적인 자신감까지 나타냈다.
전자의 경우 고발에 따른 당연한 수순이며, 후자도 그 동안의 수사 진행에 따른 자연스러운 전개라는 검찰의 설명이 전적으로 무리하다고 보긴 어렵다. 더욱이 검찰이 노정연씨의 13억 원을 3년 전 내사종결 때의 100만 달러와는 별개로 보고 있다는 점에서 엄밀하게는 다른 수사다.
검찰에 늘 촉구해오던 권력형 비리수사가 이번엔 특별한 해석을 낳는 것은 물론 총선과 대선을 앞둔 민감한 정치적 시점 때문이다. 나아가 내곡동 사저의혹의 경우 이명박 대통령 아들 등에 대한 수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고, 한나라당 돈봉투 살포사건도 축소수사 비난을 받는 등 번번이 정치적 편향성을 의심받아온 검찰의 전력에 가장 큰 책임이 있다.
시점이 어떻든 어차피 공개적으로 수사가 시작된 상황인 만큼 이제 검찰로서는 뒤로 물러서기도 어렵게 된 상황이다. 지금으로선 최대한 신속한 수사로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납득할 만한 확실한 결과를 내놓는 것밖에는 달리 방도가 없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