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ㆍ11 총선의 성패를 가를 변수로 꼽히는 민주통합당과 통합진보당의 야권연대 논의가 서서히 본궤도에 오르고 있다. 통합진보당 우위영 대변인은 14일 "양당 대표가 회동해 협상 개시를 선언하자"고 제안했다. 이에 민주통합당 신경민 대변인은 "협상 대표가 선임되는 대로 발표하겠다"고 화답하면서 양측은 금주부터 야권연대 논의를 본격화하기로 했다. 전날 비공식 실무 협의에서 늦어도 16일부터는 협상을 시작하기로 잠정 합의한 것을 이날 공개적으로 확정한 셈이다.
양측은 그간 수 차례 물밑 접촉을 벌여 연대 필요성과 원칙에 대해 일정 부분 공감대를 이룬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경남에선 17개 지역구 모두 통합경선 방식으로 후보를 단일화하기로 의견을 모았고, 울산의 두 지역에선 민주통합당이 후보를 내지 않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또 부산에서도 영도 등 2~3곳이 야권연대가 가능한 지역으로 꼽히고 있다.
시작은 순조로운 듯 하지만 갈 길은 멀다. 구체적인 범위와 방식, 각 당 내부의 반발 등 넘어야 할 산이 하나 둘이 아니기 때문이다. 우선 전략 지역구 선정 방식과 범위를 두고 양측 간 이견이 뚜렷하다. 광역시도별 지지율에 따라 지역구 수를 나누자는 통합진보당의 주장에 대해 민주통합당은 난색을 표하고 있다. 경남의 사례를 다른 광역시도까지 확대하는 것에는 통합진보당이 고개를 가로젓는다. 전체적으로는 통합진보당 이정희 대표가 출마를 선언한 서울 관악을 지역을 포함해 수도권 문제가 어떻게 되느냐에 따라 야권연대의 향배가 좌우될 것이란 관측도 있다.
통합진보당은 내부적으로 서울 노원병과 관악을, 광주 서을, 경기 고양 덕양갑, 성남 중원, 전남 순천 등 10여 곳을 양보 받아야 할 마지노선으로 설정하고 있다. 하지만 민주통합당 입장에선 이를 수용하기가 쉽지 않다. 자체 경쟁이 치열하거나 현역 의원이 버티는 곳이 적지 않아 전략적인 판단에 따라 양보를 결정하더라도 내홍이 불가피하다. 때문에 민주통합당은 야권연대 협상 개시를 코앞에 두고도 멈칫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실무선에서 합의한 양당 대표 회동을 일단 뒤로 미룬 게 단적인 예다.
양정대기자 torch@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