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폭력근절의 책임은 상당부분 교사에게 지워졌다. 6일 발표된 종합대책이 실효성을 갖게 될 것이냐는 사실 교사의 역할과 권한을 어떻게 규정하고, 어떻게 지원하느냐에 달려있다.
대책에 포함된 학생 면담 강화, 복수담임제, 처벌 강화 등이 모두 교사의 몫이다. 그러나 이런 시스템 마련만으로는 부족하다는 게 현장 교사들의 의견이다. 2명의 담임교사가 어떻게 역할을 분담하느냐에 따라 성패가 갈릴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제도를 주장했던 전국교직원노조 관계자는 "원래 취지는 공동배정된 담임이 학생을 반으로 쪼개 나눠 맡는 것"이라며 "교과부의 생각처럼 한명은 생활지도, 한명은 행정업무를 맡는 식이면 효과가 떨어진다"고 말했다.
서울 A고교의 한 교사는 "공동담임에 대한 역할과 권한이 뚜렷하게 구분되지 않으면 고참 교사가 어린 교사에게 일만 떠넘기는 부작용이 생겨 오히려 갈등 소지가 있다"고 말했다.
수업부담을 줄여 주지 않으면 생활지도 강화는 '말뿐인 대책'으로 전락할 우려가 있다는 목소리도 있다. 홍인기 좋은교사운동 정책위원장은 "이미 수석교사, 상담교사, 진로진학상담교사들의 수업부담을 경감하라는 정책이 시행되고 있는데 수업은 누구에게 전가될 것인지 대책이 마련되지 않으면 혼란만 가중될 것"이라고 말했다.
조정실 학교폭력피해자가족협의회 회장은 "교사들이 적극적으로 개입하지 못하면 학생들이 도움 청하는 것을 꺼리게 되고, 문제가 커진다"며 "교사들의 재교육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한준규기자 manbok@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