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정보전략이 변하고 있다. 첨단매체의 발달로 정보의 유통경로가 다변화하자 공개된 정보는 적극 활용하고, 자체 보유한 기밀정보는 보안을 강화하는 식이다. 정보 환경의 변화에 신축적으로 대응하려는 맞춤식 전략이다.
미 연방수사국(FBI)은 19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감시시스템 구축을 골자로 한 사업자 공고를 행정부의 조달사업 웹사이트에 냈다고 AFP통신이 26일 보도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등 SNS를 통해 산출된 정보를 수사에 접목하겠다는 것인데 모집 요강을 보면 FBI의 의도가 잘 드러난다.
FBI는 “수많은 테러활동의 특징을 검색할 수 있고, 테러그룹의 공격 형태와 추세 분석이 가능해야 한다”고 적시했다. 국제 테러단체가 이메일과 인터넷, 무선통신 대신 SNS를 주요 연락수단으로 채택하는 사례가 급증했다고 보고 SNS의 정보수집ㆍ결합 능력을 인정한 것이다.
FBI는 “정보분석가들은 사건 발생 초기 SNS에서 첫 단서를 찾고 있다”며 “우리가 만들려는 웹 애플리케이션에는 사건과 관련한 기초조사 및 신원파악, 위치추적 기능이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미 정보당국은 이와 함께 행정부의 기밀문서 유출을 막기 위한 보안체계 강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제임스 클래퍼 국가정보국장(DNI)은 이날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모임에서 “향후 5년에 걸쳐 기밀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확실한 수단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우선 행정부가 취급하는 모든 기밀문서에 전자태그(꼬리표)를 다는 방안이 거론된다. 이렇게 되면 내ㆍ외부를 막론하고 해당 자료에 누가 접근했고, 어떻게 유통됐는지 등에 대한 추적이 쉬워져 사고 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또 ‘납치’ 등 특정 단어를 별도로 관리해 수사기관끼리 공유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 클래퍼 국장은 “지난해 외교전문이 무더기로 유출된 위키리크스 사태로 내부 위협에 대응할 필요성을 절감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런 정책 변화는 공통적으로 정보의 감시 및 통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에서 개인정보 악용의 우려가 제기된다.
릴리 코니 전자사생활정보센터(EPIC) 부소장은 “FBI는 조사받을 의무가 없는 온갖 사람들의 정보까지 들여다 볼 것”이라며 “책임감도 투명성도 없는 터무니없는 계획”이라고 비판했다.
김이삭기자 hiro@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