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정신의학회가 올 연말 자폐증 진단 기준을 강화할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일고 있다. 이렇게 되면 자폐증 진단율이 크게 줄어들 것이라는 예상이지만, 기존 환자들에 대한 지원 감소 등 부작용도 우려된다. 기준을 강화하는 근거를 놓고도 이견이 적지 않다.
예일대 의과대학 아동연구센터의 프레드 폴크마 박사는 1993년 자폐증 진단을 받은 환자 중 장애 정도가 낮은 아동 및 성인 372명에게 새 기준을 토대로 장애 여부를 판단했다. 이 결과 자폐증 환자로 다시 확인된 환자는 절반도 안 되는 45%에 불과했다.
폴크마 박사는 "자폐증 진단 기준을 강화하는 것으로 자폐증 증가를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다"고 설명했다.
지금까지는 자폐증과 유사질환들이 분류돼 있지만, 폴크마 박사는 자폐증과 모든 유사질환을 '자폐범주성장애'라는 하나의 범주로 통합했다. 또 현재 12개 행동 중 6개 이상 진단을 받으면 자폐증으로 진단하던 것을 항목별 일정기준을 충족시켜야 하는 것으로 까다롭게 바꿨다.
폴크마 박사가 이런 방식을 들고 나온 것은 자폐증과 유사질환의 진단 기준이 모호해 오히려 자폐증 환자만 양산했다는 비판에서다. 아동 100명중 1명이 자폐증 진단을 받을 정도다.
폴크마 박사의 방식에 대한 비판도 적지 않다. 우선 연구자료가 너무 예전 것이고, 장애 정도가 낮은 환자들만을 대상으로 한 점이 한계로 지적된다. 정신의학회의 상당수 전문가들도 폴크마 박사의 연구 결과에 대해 동의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폴크마 박사는 이런 비판을 의식, 올 연말 조사대상을 1,000명으로 늘린 새 분석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일부에서는 새 기준을 적용할 경우 기존 자폐증 환자가 환자로 분류되지 않아 정부의 지원을 받지 못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주정부의 지원금에 의존하는 자폐증 환자는 수만명에 달한다.
자폐증 진단을 받은 딸을 둔 매리 메이어씨는 "기준이 바뀌면 일부 자폐증상이 있는 내 딸이 지원자격이 될지 걱정된다"고 말했다.
고은경기자 scoopkoh@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