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과 대선이 겹치는 올해는 경제에 미치는 정치바람이 더욱 거셀 전망이다. 최근 증시에선 대선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관련 종목이 급등세를 이어가며 정치가 호재로 작용하는 듯 보인다. 하지만 과거 사례를 보면 선거는 경제에 부담이 된다. 선거의 해에 주가는 떨어지고 물가는 오르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6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1990년 이후 대선이나 총선이 열렸던 8개년 중 5개년에 코스피지수가 큰 폭으로 하락했고, 상승한 해는 3차례(1992, 2004, 2007년)에 불과했다. 82년 이후 코스피지수 수익률을 따져보면 대선이 있던 해에는 평년보다 5.5%포인트, 총선이 있던 해에는 23.6%포인트가 빠졌다.
반면 선거 탓에 시중에 돈이 많이 풀리면서 물가는 뛰었다. 87년 이후 대선이나 총선이 있던 해의 광의통화(M2ㆍ현금과 단기 금융상품) 평균 증가율은 전년동기대비 16.6%로, 선거가 없던 해(14.8%)보다 1.8%포인트 높았다. 총선(15.3%)보다는 대선(19.3%)이 있던 해의 M2 증가율이 높았다.
시중통화량이 증가하면 돈의 가치가 떨어져 물가는 상승압력을 받게 된다. 66년 이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대선의 해엔 평균 11.5%로 평년(8%)보다 3.5%포인트 높았고, 특히 대선과 총선이 함께 있던 해엔 13.4%나 됐다. 이를 감안하면 올해 물가를 3%대 초반에서 잡겠다는 정부의 계획은 달성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결정과 선거의 상관관계는 미약했다.
증권사 관계자는 “아무래도 선거에는 돈이 많이 들어가 시중통화량 등에 영향을 미치겠지만 결국 경기가 어떤 국면에 있는지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고찬유기자 jutda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