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서울시장이 뉴타운 사업의 대안으로 내년 1월부터 마을공동체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마을공동체기획위원회(이하 마을공동체위)가 출범해 지역 공동체를 복원하는 재개발로, 원주민 재정착률을 높이는 게 특징이다.
26일 본보가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마을공동체위에는 지역 NGO 활동가, 외부전문가, 담당공무원 등 100여명이 참여한다. 마을공동체위 위원들은 시범ㆍ공모사업 대상지역의 주민요구 및 개발자원에 대한 실태조사, 사업 지역의 갈등조정자 교육, 사업 인식 개선을 위한 교육 홍보 캠페인 등을 담당한다. 시정과 관련한 갈등 해결 전담기구인 시 갈등조정위원회에 이은 서울시의 두 번째 100인 시민위원회인 셈이다.
신설된 서울혁신기획관 산하 마을공동체담당관은 마을공동체위의 자문을 받아 기본계획 수립, NGO 구성 지원, 네트워크 강화 등 마을공동체 복원 지원을 총괄ㆍ조정한다.
마을공동체 사업은 주거 정비부터 텃밭가꾸기까지 주민 생활을 총망라한다. 주거지의 단열을 보수하고 개량하는 두꺼비하우징(가구당 사업비 1,000만원 내외)을 통해 기존 주거지를 모두 부수고 새로 짓는 뉴타운 사업을 대신한다는 것이다. 공사는 가능한 지역자활공동체에 맡겨 일자리 창출 효과도 노린다.
특히 주민협동조합이 주체가 돼 마을회관 등을 활용하는 주민자치, 텃밭ㆍ꽃밭 조성 등 도시농업을 통해 지역 커뮤니티도 유지한다. 협동조합원 소액출자를 통해 마을은행에 기금을 조성하고, 지역 출판사나 서점에서 책을 기부 받아 마을도서관도 세운다는 방침이다.
완성된 마을공동체는 두꺼비하우징(주거), 마을위원회(자치), 마을기업협동조합(경제), 마을도서관(교육), 도시텃밭(생태), 돌봄네트워크(복지), 마을동아리ㆍ극장(문화) 등의 그물망 형으로 구성된다. 마을공동체의 인프라 유지ㆍ보수는 커뮤니티 맵핑을 활용한다.
주민참여는 이 사업의 핵심이다. 마을공동체는 거버넌스 형태의 주민참여예산제로 운영한다. 성미산마을의 '문턱 없는 밥집'과 같은 마을기업(사회적기업)의 수익금으로 사업 기금을 마련한다. 이렇게 모은 기금은 자동차 공유제(Car Sharing) 등 공동체 활동에 쓴다.
시는 민관합동기구를 만들어 마을공동체를 측면 지원한다. 시ㆍ구 마을지원센터는 중간지원을, 시ㆍ구 마을공동체행정지원협의회는 행정지원을, 사업 지역별 마을공동체네트워크(마을넷)는 민간협력을 각각 담당한다.
시는 사업 대상지로 종로구 북촌 한옥마을, 강동구 암사동 서원마을, 마포구 성산동 성미산마을, 성북구 삼선동 장수마을, 노원구 중계동 백사마을 등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다. 특히 서원마을, 성미산마을에서는 오세훈 전 시장이 추진하던 휴먼타운을 대체할 예정이다.
시는 올해 12월 기본계획 수립해 내년 1~3월 3~5개 시범사업 실시, 내년 4월 평가ㆍ모델 확정 및 지원조례 제정, 내년 5~6월 종합계획 수립 및 마을은행 등 중간지원조직 설립을 거쳐 내년 7월부터 본 사업을 전개할 계획이다.
김청환기자 chk@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