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사망 이후 중국과 현 상황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기 위해 22일 외교부 고위급 인사를 급파했다. 이는 정부가 전향적인 대북 정책 전환을 검토하는 가운데 나온 것이다.
특히 6자회담 관련국 중 우리나라를 비롯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 5자가 한반도 상황의 안정적 관리를 목표로 사실상 '김정은 체제'를 인정한 가운데 각국 외교 채널들이 본격 가동되고 있다는 점에서 이들의 접촉 결과가 주목된다.
우리측 6자 회담 수석대표인 임성남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이날 중국 베이징(北京)으로 출국했다. 외교부 관계자는 "김 위원장의 사망으로 인한 동북아 정세의 변화와 양국의 입장에 대해서 인식을 공유하기 위해 임 본부장이 중국으로 가게 됐다"며 "6자회담뿐 아니라 김 위원장의 사망으로 인한 전반적 상황에 대해 중국과 조율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앞서 이명박 대통령은 이날 "북한 체제가 확립되려면 시간이 걸릴 텐데 우리나라나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가 모두 북한이 빨리 안정되기를 바란다는 면에서 뜻을 같이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김정일 사망을 계기로 그 동안의 경색 국면에서 벗어나 북한과의 양자 대화 및 북핵 6자회담 재개 등의 새로운 전기를 맞을 수 있다는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실제로 임 본부장은 이날 중국에 도착한 뒤 이날 중국 측 6자 회담 수석대표인 우다웨이(武大偉) 한반도사무 특별대표와 회동, 향후 6자회담 재개 방안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현재 6자회담 관련국들은 김 위원장 추모 기간이 끝난 뒤 내년 1월 제3차 북ㆍ미 대화를 갖고, 6자회담 재개 수순으로 들어가기로 큰 틀의 공감대를 형성해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도 김 위원장의 '유훈'에 따라 대북 식량 지원 및 비핵화 협상을 계속 추진하겠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임 본부장은 또 중국 정부의 고위층과 접촉해 김 위원장의 사망 이후 동북아 정세 등에 대해 폭넓은 의견을 나눌 계획이다. 정부가 대북 정책의 전환을 모색하는 시점에서 임 본부장을 급파한 것은 대북 영향력이 큰 중국측의 협조를 당부하기 위한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박일근기자 ikpark@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