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로부터 1년 후 18대 대통령 선거가 치러진다. 대선 1년 전의 정치구도가 요동치지 않은 적은 없지만, 이번 대선의 D-1년은 그 어느 때보다 불확실성 속에 놓여 있다. 단순히 누가 당선될 것이냐를 점치기 어렵다는 승부의 불확실성을 넘어, 국민들로부터 사실상 탄핵을 받은 한국의 정당정치가 어디로 갈지 예측하기 어렵다는 정치 본질의 불확실성을 띠고 있다.
이런 불확실성은 사회 전반에 불안감을 드리우는 부정적 측면도 있지만, 한계에 이른 기존 정당정치와 국가발전 전략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하는 기회가 될 수도 있다. 1987년 전두환 정권의 강권 통치와 민주진영의 처절한 저항으로 불안은 극에 달했지만, 대통령 직선제라는 정치적 합의를 통해 민주주의 체제가 구축될 수 있었던 것처럼 이번에도 해답을 찾아낼 수 있다.
물론 지금 국면은 정치적 혼돈 외에도 성장의 신화, 신자유주의 패러다임이 붕괴된 경제적 혼돈까지 겹쳐져 과거보다 훨씬 복잡하고 어렵다. 정치만 해도 정치적 경력이 전무한 박원순 씨가 서울시장이 되고, 안철수 씨가 대선주자 여론조사에서 1위를 하는 초유의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경제는 빈부격차 심화, 고용 없는 성장, 세계적 불황으로 출구의 방향조차 찾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내년 대선의 향배는 누가, 어느 세력이 정치ㆍ경제적 혼돈과 불확실성을 극복해낼 대안을 만들어내느냐, 또 국민들에게 그런 믿음을 줄 수 있느냐에 달렸다고 볼 수 있다. 한나라당이 19일 박근혜 비대위를 출범시키고 민주당, 시민통합당, 한국노총이 지난 주 민주통합당으로 하나가 된 것도 이런 노력의 첫 발걸음으로 볼 수 있다.
국민들도 지금부터 한나라당과 민주당의 쇄신 노력은 물론 대선주자들의 행보도 주의 깊게 지켜봐야 한다. 말이나 이미지에 현혹되지 말고 각 정당의 노선과 정책, 지도체제와 인물 영입, 공천 절차 등을 따져보고 대선주자들의 언행과 진정성, 능력을 두루 살펴야 한다. 그래야만 내년 4월 11일 총선과 12월 대선에서 나라의 미래를 위해 제대로 된 선택을 할 수 있다. 그게 바로 국민 스스로를 위한 일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