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학과 정치학은 세상을 보는 눈이 다를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세종이 그렇지요. 그를 백성을 사랑한 군주로만 보는 것은 인문학적 순진함의 소산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국분단사연구> 등 정치외교사 연구에서 기념할 만한 저작들을 내온 신복룡(69) 건국대 석좌교수가 단군신화가 만들어진 고대부터 박정희 정권까지 한국 정치사상의 역사를 아우른 <한국정치사상사> (지식산업사 발행ㆍ전2권)를 냈다. 책 하권 32장에 실린 '동학사상'을 쓴 게 1983년이니 햇수로 따져 거의 30년을 공들인 역작이다. 한국정치사상사> 한국분단사연구>
신 교수는 책에서 한국의 정치사상을 고대, 중세, 근세 전ㆍ후기, 근대, 현대로 나누고 그 시대의 핵심 사상을 41개 장에 걸쳐 소개했다. 정치사상과 종교의식을 떼내어 설명할 수 없는 고대에서는 원시공동체의 민회, 제천의식과 부락제를 중요하게 다루었다. 고려에서는 불교를 빼놓을 수 없다. 조선은 주자학을 뼈대로 조광조로 대표되는 지치(至治)주의, 향약 문화, 양명학과 실학을 두루 짚는다.
그는 이 책에서 '천하에 주인이 따로 없다'는 혁신적인 사상을 설파한 조선 문인 정여립이나 묘청, 신돈 등 왕조사 중심의 주류 역사학에서 이단아 취급 받던 인물의 사상을 부각해서 조명하고 있다. '김부식은 사대주의자였고, 신돈은 요승(妖僧)이었고, 퇴계는 주리론자였고, 율곡은 주기론자였다는 식'의 역사학적 정형을 깨고 싶었던 데다, 정치사상이란 '그 시대를 살던 사상가들이 국가 구성원들의 행복과 슬픔을 고민하면서 산출한 복음주의'에 대한 해석을 담아야 한다는 믿음 때문이다.
"인문학에서는 세종을 백성을 사랑해 한글을 만든 성군으로 볼지 모르지만 정치학적으로 한글 창제는 백성을 다스리기 위한 산물에 불과합니다. 조선 창업에서 수성으로 넘어가는 시기에 어떻게 왕조를 튼튼하게 이어갈까 고민한 세종은 마키아벨리 같은 교활한 측면도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데올로기의 시대'라고 이름 붙인 근대 이후에는 역사주의, 무정부주의, 좌ㆍ우파 이념과 함께 박정희의 정치사상을 해부했다. 박 전 대통령에 대해 '실적과 결과를 유보한다면 합의된 사상사적 평가가 불가능할 것도 없다'며 그를 일본 군국주의를 통해 전수된 프러시아적 우국심에 사로 잡힌 인물이라고 평했다. 또 국가의제 설정에 성공했고 그 방향으로 국가와 사회의 편제를 재구성하는데 성공한 최초의 지도자이지만 '절차적 민주주의를 파괴한 것도 분명한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그의 연배에, 그것도 정치사상이라는 딱딱하기 이를 데 없는 주제를 이만큼 읽기 쉽게 쓸 수 있는 것은 '물 긷는 아낙에게 들려주어 무슨 뜻인지 모른다면 글이 아니'라고 한 소동파에 동감하는 그의 노력의 산물이다.
신 교수는 책 서문에서 돈이 없어 남들처럼 제때 중학교에 진학하지 못해 나무지게 지고 산에 올라 학교 가는 친구들을 바라 보던 아픔을 잊을 수 없다고 했다. 미국 유학 중 어머니가 세상을 떠나셨다는 전화를 받고도 바로 귀국할 방법이 없자 도서관에 가서 책을 읽었던 그에게 이번 책은 '말년을 살아야 할 이유'였다. 칠순이 코 앞이니 이 책을 마지막으로 그만 쉴 때도 된 듯하지만 '공부에 한이 맺힌' 이 학자는 다시 책을 펴 들었다. "<플루타르크 영웅전> 주해서 번역을 시작했어요. 10년쯤 걸릴지 모르겠네요." 플루타르크>
김범수기자 bskim@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