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동당, 국민참여당, 진보신당 탈당파인 통합연대가 20일 새로운 통합진보정당 창당을 공식 선언했다. 국민참여당의 추인 절차가 마지막 고비로 남아있지만 일단 통합의 흐름은 잡혔다고 볼 수 있다. 일각에서는 2008년 분열했던 민노당과 진보신당에 국민참여당이 추가된 원상회복을 했을 뿐이라고 평가절하하기도 한다. 하지만 그 때와는 시대 상황이 바뀌었고 진보세력의 자세도 달라졌다는 점에서 이번 통합은 의미도 있고, 파장도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눈여겨볼 대목은 대중화이다. 그 동안 진보세력은 이념적 경직성, 과격한 투쟁으로 다수의 국민으로부터 외면을 받았다. 물론 여전히 그런 한계가 있지만, 이번 통합과정에서 진보적 가치의 실현을 위해선 길거리 투쟁보다 법과 정책을 바꾸는 게 더 중요하다는 인식이 공유됐다는 사실은 의미심장하다. 과거에는 항거하고 투쟁하는 '소금 역할'에 머무는데 만족했다면, 지금은 보다 많은 국회 의석 확보, 선거연대를 통한 공동정권 창출이라는 집권전략 구상을 갖고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민노당이 6월 전당대회에서 사회주의 강령을 삭제하고 민노당과 진보신당이 자유주의세력이라고 폄하하던 참여당과 손을 잡은 것도 그런 변화의 한 단면이다. 특히 민주당, 혁신과 통합이 추진하고 있는 야권통합을 경원시 않고 선거연대나 정파등록제를 통해 한나라당과 야권의 1대1 구도 구축에 동참하겠다는 내부 전략이 세워져 있는 것도 대중화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극복해야 할 과제도 적지 않다. 우선 통합과정에서도 드러났듯이 지향점과 총선지분을 둘러싸고 정파간 분열이 재연될 소지가 있다. 다소 과장된 측면도 있지만, 과거 진보신당 세력이 비판했던 민노당 내 종북주의 문제도 아직 정리되지 않고 있다. 한미자유무역협정(FTA)만 하더라도 민주당은 독소조항 제거를 요구하지만 통합진보정당은 아예 그 자체를 반대하고 있어 야권의 선거연대가 쉽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런 미세한 문제들이 정교하게 조정되지 않는다면 국민들이 선뜻 믿음을 주기 어렵다는 사실을 유념해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