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소득층의 물가상승률이 고소득층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저소득층 가구의 지출 비중이 높은 식료품 등 필수재의 물가 변동성이 큰 탓으로, 물가지표에 비해 저소득층의 체감 물가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는 사실이 통계적으로 입증된 것이다.
17일 국회예산정책처의 ‘소득계층별 물가지수 차이가 체감물가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1990년 이후 올해 상반기까지 20여년간 물가상승률을 소득계층별로 분석한 결과, 하위 10% 가구(1분위)의 물가상승률이 상위 10% 가구(10분위)에 비해 연 평균 0.2%포인트 더 높았다. 이 기간 소득 1분위 가구의 물가상승률은 총 133.2%에 달한 반면, 10분위 가구는 125.0%에 그쳤다.
특히 최근 들어 소득계층간 물가상승률 격차는 더 벌어졌다. 작년 1년간 소득 1분위의 물가상승률은 3.8%에 달한 반면, 10분위 물가상승률은 2.8%로 1%포인트나 차이가 났다.
보고서는 “저소득층 가구는 필수재 지출이 많고 고소득층은 사치재 지출이 많은 등 품목별 지출 비중이 다르기 때문”이라며 “저소득층의 물가지수가 더 크게 변동하는 현상은 식료품을 비롯한 필수재의 물가 변동성이 더 크거나 품목간 대체 가능성이 더 적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이어 “저소득층의 물가 상승폭이 더 큰 현상은 물가지수와 체감물가 간 괴리를 가져오고 현재와 같이 경제위기와 물가 상승이 중첩된 시기에 저소득층 생계비 부담을 가중시킨다”며 “저소득층의 표준소비품목을 구성해 생계비 변동을 보다 정확히 측정하는 등 소득 수준별 물가지수 작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영태기자 ytle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