곳곳에 종합편성채널 밀어주기 의혹투성이다. 우연일 뿐이라고 하기에는 모든 것이 앞뒤가 딱딱 맞아떨어진다. 일찌감치 종편이 광고영업부터 마음대로 하도록 만들어 놓았다. 시청률이 높은 지상파 인접 채널 배정도 확실해졌다. 게다가 KT가 종편 4곳에 20억 원씩 투자한 것까지 드러났다. 이명박 정부의 최대 수혜자는 종편이라는 말이 과장이 아니다.
종편의 독자 광고영업은 국회가 미디어렙 법안 마련에 늑장을 부린 탓이 아니다. 그 동안의 태도를 보면 방통위와 여당은 처음부터 종편을 미디어렙에 넣어 규제할 마음이 없었다. 방통위가 임의로 나란히 배정하면 위헌소송도 불사하겠다는 케이블방송사업자(SO)들까지 황금채널인 15~ 18번을 양보했다. 채널 편성권은 SO들의 고유 권한임에도 최시중 방통위원장은 틈만 나면 종편의 황금채널 배정을 강조하며 주요 SO사장들을 불러 협상 타결을 종용해왔다. 종편 사업자들은 한 술 더 떠 전국 동일 채널번호까지 요구하고 있다.
KT의 투자도 석연치 않다. KT는 사실상 정부의 영향 아래 있는 공기업이다. 그런 기업이 자회사인 KT캐피탈을 통해 3, 4월에 종편에 83억 9,000만원을 투자했다. 공교롭게도 일부 종편이 자본금 납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방통위가 기한까지 연장해 준 시점이었다. 순수한 투자목적이라는 KT측의 설명도 앞뒤가 안 맞는다. 투자하기 불과 몇 개월 전, KT는 평가 결과 사업성이 없어 종편에 투자하지 않기로 했다고 말했다. 결국 손해 날 것을 뻔히 알고도 슬쩍 투자했다는 얘기다. 정부 개입이나 종편 사업자인 대형 언론사의 압력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종편은 선정과정에서부터 온갖 의혹에 휘말렸지만, 지금까지 어느 것 하나 명쾌하게 해명된 게 없다. 이렇게 투명하지 못하게 탄생하는 종편에게 공공성과 공영성을 기대할 수는 없다. 건전한 미디어산업의 새로운 동반자가 되기는커녕 특혜를 무기로 자기 이익만 좇아 광고시장을 교란하고, 여론의 다양성을 무너뜨리는 미디어 생태계의 약탈자가 될 것이 뻔하다. 그 피해와 책임은 과연 누가 질 것인가.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