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유럽, 중국은 세계 경제를 이끌어가는 3대 축(G3)이다. 그런데 유럽은 재정위기에 휘청대고 있고, 미국은 더블딥(이중 침체) 우려에 몸살을 앓고 있다. 이제 기댈 수 있는 곳은 사실상 중국뿐이다.
그런데 중국의 몸 상태도 썩 좋지 않다. 내년 1분기에는 성장률이 7%대로 떨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많다. 평균 10%대 고성장 가도를 달려온 중국에게 7%대 성장은 적잖은 충격이다. 만약 부동산, 사(私)금융, 지방정부 부채 등 뇌관들이 터진다면 중국 경제의 경착륙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이다.
12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해외 투자은행(IB)들은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올 4분기 8% 초반으로 낮아지는 데 이어 내년 1분기에는 8% 밑으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가장 비관적인 크레디트스위스는 올 4분기부터 3분기 연속 7%대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봤고, UBS워버그도 내년 1분기 성장률을 7.7%로 예상했다.
물론 내년 1분기 저점을 찍고 이후 반등하면서 연간으론 8% 중반대 성장을 달성할 것이라는 게 IB들의 관측이다. 이치훈 국제금융센터 연구원은 "7%대 성장이 고착화하는 것이 아니라면 경착륙으로 보긴 어렵다"며 "중국 경제의 경착륙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말했다.
하지만 곳곳의 지뢰를 감안하면 마냥 낙관할 순 없다. 가장 우려되는 시나리오는 부동산 거품 붕괴와 지방정부 부채 부실화의 연쇄 작용이다. 부동산 가격이 급락하면 토지 임대 수입 비중이 높은 지방정부 재정이 악화하고, 결국 지방정부에 많은 돈을 빌려준 은행들의 부실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작년 말 현재 중국 지방정부의 부채 규모는 10조7,170위안(약 1,960조원)에 달한다. 삼성증권은 "2년간 지속된 긴축정책과 대출규제가 부동산시장의 경착륙 위험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사금융 역시 위태롭다. 고금리 사채 등 사금융 규모는 은행 대출규모(51조위안)의 30% 수준인 약 15조위안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허재환 대우증권 연구원은 "사금융 급증으로 유동성 거품이 커졌고, 이것이 민간 중소기업과 부동산 업체들의 자금난과 부도 가능성을 키우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래도 중국 정부가 최악의 상황을 방치하진 않을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엄정명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글로벌 금융위기 때처럼 강력한 부양책을 쓸 여지는 없겠지만, 중국 정부가 충분히 대응 가능한 수준이라고 본다"고 평했다.
이영태기자 ytle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