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진중공업 사태가 마침내 해결의 실마리를 찾았다. 국회환경노동위원회가 7일 마련한 권고안을 한진중공업 조남호 회장이 민주노총 김진숙 지도위원의 크레인 고공농성 중단을 조건으로 수용했기 때문이다. 국회의 권고안은 회사가 해고근로자 94명을 앞으로 1년 이내 재고용하고, 그 동안의 생계 유지를 위해 해고 근로자들에게 2,000만원 한도 내에서 생활비를 지원한다는 것이다.
이유야 어떻든 회사가 한 발 크게 물러선 것은 반갑다. 그런 만큼 노조도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자세로 협상에 나서 한진중공업 사태를 조속히 해결해야 한다. 금속노조와 김진숙 위원도 권고안에 대해 긍정적인 만큼 이제 더 이상'정리해고 즉각 철회'라는 강경투쟁만 고집하지 말아야 한다. 희망버스로 대표되는 농성 지지자들 역시 마찬가지다. 한진중공업 사태를 놓고 갈등과 대립을 반복해서도 안 된다.
1년 가까이 끌고 있는 한진중공업 사태는 기업가의 사회적 책임, 시민운동의 정당성, 노동문제의 해결방식에 있어서 우리에게 적잖은 교훈과 과제를 남겼고 후유증도 크다. 누구보다 지금의 사태를 불러온 1차적 책임은 회사측에 있다. 한진중공업의 구조조정이 절박한 상황에서 나온 자구책이 아니라는 사실이 여러 정황으로 밝혀졌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회사는 양보와 타협, 공생의식을 바탕으로 근로자의 희생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을 하지 않아 노동계와 국민의 반발을 샀고, 엄청난 사회적 비용과 홍역까지 치르게 만들었다.
노사문제는 노사 스스로 해결하는 것이 원칙이다. 외부세력이나 국회가 개입해서는 안 된다. 한진중공업의 경우 사측의 무책임하고 비양심적인 태도가 그것을 자초한 측면이 크다. 처음부터 회사가 근로자의 입장에 서서 공생을 위한 고통분담의 길을 찾았다면 오늘과 같은 사태는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다. 회사가 국회권고안을 수용한 것을 보면 결코 불가능한 일만은 아니었다. 더 이상 이런 기업이 나와서도 안 된다. 아울러, 노사문제를 이렇게 정치적ㆍ사회적 방식으로 해결하는 것도 결코 바람직하지는 않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