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상급식을 둘러싼 갈등으로 서울 시민들은 채 1년 반도 되지 않아 투표를 3번이나 하게 됐다. 지난해 6월 2일 지방선거를 통해 서울 시장으로 오세훈 시장이 선출됐으나, 무상급식을 둘러싼 갈등으로 8월 24일 주민투표를 한 데 이어 오시장이 물러남에 따라 10월 26일에는 다시 서울시장 보궐선거를 하게 된 것이다. 게다가 내년 4월 총선과 12월 대선도 기다리고 있다.
우선 선거에 따른 비용이 만만치 않다. 서울시 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지방선거에는 시장과 시교육감등 8개 부문 선거에 약 875억9,000만원이 들었고, 이번 주민투표에는 약 160억원이 쓰였다. 시 선관위 관계자는 "이번 주민투표에는 당초 182억원이 들 것으로 예상했는데, 주민투표 발의가 늦어지면서 투표운동 기간이 줄고 개표를 하지 않아 비용이 160억 정도로 줄었다"고 밝혔다. 여기에 10월 시장 보궐선거에서는 일정 득표 이상 후보의 선거 비용을 보전해 줘야 하기 때문에 정부의 선거 비용은 약 300억원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1년 반 새 선거 비용으로 1,330억원 이상의 혈세를 쓰게 된 것이다.
선관위 관계자는 "선거비용도 문제지만, 통상 시장 선거를 하면 4개월 전부터 준비를 하는데 갑작스럽게 보궐선거를 하게 돼 홍보 등 제대로 준비할 수 있을지 걱정"이라고 말했다.
시민들도 잦은 선거에 피로를 호소한다. 강남구에 사는 정 모(37)씨는 10월에 시장 보궐선거를 해야 한다는 뉴스를 접하고 "이번 주민투표도 그렇고 투표일에 직장이 쉬는 것도 아니라서 투표를 하고 싶어도 바빠서 못한다"고 말했다. 관악구에 사는 직장인 김 모(35)씨도"자기들끼리 싸우는 일에 누가 큰 관심을 갖겠냐"고 말했다.
공무원들도 단기간 내 시장 교체로 인한 시정의 혼란을 우려하며 동요하고 있다. 서울시 공무원은 "여당이건 야당이건 새 시장이 오면 전 시장과 차별화되는 자신의 사업을 추진하려 할 것"이라며 "새 시장이 취임할 때까지 일단 최소한의 업무만 처리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또 다른 공무원은"시민들이 뽑은 민선 시장의 주요 사업을 시행하는 것은 공무원의 당연한 임무"라면서도 "정책이 바뀌면 사람도 바뀌지 않겠냐"며 불투명한 미래를 우려했다.
류호성기자 rhs@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