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기자는 보건복지부 아동권리과 직원의 전화를 받았다. 당일 한국일보의 ‘대한민국, 복지의 길을 묻다’ 시리즈 2회 ‘주말엔 지역아동센터도 문 닫고…“밥 먹을 곳이 없어요”’에 소개된 진우(10ㆍ가명)를 돕고 싶다는 것이었다. 그러니 진우가 다니는 지역아동센터를 알려달라고 했다. 진우는 아버지의 보살핌을 제대로 받지 못해 주말에 밥을 잘 챙겨먹지 못하는 부자(父子)가정 아동이다.
기자는 복지부 직원에게 어느 센터인지 알려줄 수 없다고 했다. 해당 아동센터 측은 청와대에서 ‘진우를 찾으라’는 지시가 있었다”는 관할 구청의 연락을 받았지만 아동 보호를 위해 신상을 공개하지 않은 상태였기 때문이다.
그러자 이 복지부 직원은 “결식 아동에게 급식을 지원하는 것은 우리의 의무다”“진우가 주말에 굶는걸 직접 봤냐” “연락처도 안 가르쳐 주면서 기사는 왜 썼냐”며 언성을 높였다.
그런데 다음날 복지부는 자체적으로 진우의 연락처를 알아냈고, 구청 동사무소 아동센터 진우 아버지 등을 들쑤셔댔다고 한다. “한국일보가 쓴 진우 사연은 오보 아니냐”고 따져 물었다는 것이다.
복지부는 3일 기자에게 진우의 아버지가 식당을 운영하며 적지 않은 돈을 벌고 있다고 지적했다. 급식지원 대상이 아니라는 얘기였다. 그러나 기사는 단순히 저소득층 결식아동을 보도한 게 아니다. 진우의 소원이 뭔지 아는가. “더울 때는 수영장에 가고 추울 때는 찜질방에 가보고 싶어요.” 기자를 만나 한 얘기다. 진우에겐 밥 한 끼보다 따뜻한 보살핌이 더 절실하다. 이런 아이들은 100만명이 더 있다.
복지부가 정말 진우를 걱정했다면 이렇게 보도 경위를 따지는 게 아니라 현장에서 아이의 상황을 진지하게 듣는 게 우선이다. 진우를 굳이 찾아내려 한 복지부의 진의가 도대체 뭔가.
남보라 사회부 기자 rarara@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