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 1주년을 맞아 '진보교육감' 6명이 그제 내놓은 공동성명은 여러모로 우려를 하게 만든다. 그들의 이런 '따로 놀기'행태가 계속되는 한 보수와 진보 양편으로 찢어져 소모적 갈등만 되풀이하고 있는 우리 교육계의 화합은 기대하기 어렵다. 상대 입장은 생각지도 않은 채 제 목소리만 내면 된다는 식인 공동성명은 애초부터 실현을 염두에 두지 않은 선전선동에 불과하다.
아무리 좋은 주장이나 제안도 상대에 대한 배려가 없으면 오히려 욕이 된다. 이번 성명의 가장 심각한 문제점도 바로 여기에 있다. 진보교육감들은 교육문제의 사회적 대토론과 합의를 위해 민간독립기구를 구성하자고 제안했다. 그들은 "흔들림 없는 교육정책 집행을 위해 여야와 정파를 떠난 사회적 대토론이 필요하다"고 그 이유를 댔다. 하지만 이런 이유와 제안은 그 자체로 교육당국인 교육과학기술부나 보수 교육단체인 한국교총을 불신한다는 얘기이고, 교육정책의 파트너로도 여기지 않는다는 차별화 선언이 되는 것이다.
성명 발표의 모양새도 좋지 않다. '여야와 정파를 떠나자'고 하면서 진보교육감 6명만 따로 모여 일방적 성명을 내면 무슨 호응이 있겠는가. 흔히 보수 쪽인 것으로 알려진 나머지 10개 시ㆍ도의 교육감들이 따로 모여 이런 식으로 분파적 집단의견을 낸 적은 없다. 그들이 진보교육감들에 대해 할 말이 없어서 가만히 있는 건 아닐 것이다. 교육계에 딴 판을 차리려는 행태가 호응을 얻을 것이라고 생각했다면 어리석고, 호응이 있건 없건 선전 효과만을 노린 것이라면 교육행정가로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더욱이, 무상급식이나 체벌금지 같은 소모적 논란이 여전한 가운데 제시한 가칭 '국가교육위원회' 같은 엉뚱한 거대담론은 결과적으로 또다시 교육현장을 혼란케 하는 부작용이 클 것이다. 걸핏하면 학생인권이요 교권이고, 교육과정 편성권이나 교과서 집필권 같은 권리 주장 아니면, 토론하자는 얘기뿐이다. 체벌 금지로 인한 학교현장의 혼란에 대한 반성도 없고, 체벌 교사 과잉징계에 대한 인간적인 해명도 없다. 실망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