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대래 방위사업청장은 14일 “글로벌호크를 반드시 도입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고 밝혔다. 정부 당국자가 공식 자리에서 글로벌호크 도입 철회를 시사한 것은 처음이다.
노 청장은 이날 국회 국방위원회에 출석해 “최근 미 국방부가 평가한 결과 글로벌호크 블록30형은 고장이 잦고 작전운용상 효과적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도 도입할 것이냐”고 한나라당 김동성 의원이 묻자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무리해서 도입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미 노드롭그루먼사가 제작한 글로벌호크는 고(高)고도 무인정찰기로 2015년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이후 한국군이 북한 지역을 정찰, 감시하기 위한 핵심전력이다. 20㎞ 상공에서 지상 30㎝ 크기의 물체를 식별할 수 있는 첩보위성급 전략무기로, 작전반경이 3,000㎞에 달해 한 대를 띄우면 한반도 전역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다. 특히 천안함, 연평도 사건 이후 군이 내세운 적극적 대북 억제전략에 따라 북한의 공격을 조기에 무력화하기 위해서는 고고도 무인정찰기가 필수적이다. 이에 김관진 국방부 장관은 3월8일 ‘국방개혁 307계획’을 발표하면서 이례적으로 글로벌호크라는 특정 기종을 거론하며 “2015년 이전에 반드시 도입해 전력화하겠다”며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하지만 미 국방부가 지난해 10월부터 석 달간 평가한 결과 글로벌호크 블록30형은 작전임무의 40%밖에 수행하지 못했고 발전기, 항법장비 등 핵심부품의 고장이 16곳 발견됐다. 또한 지상의 신호정보를 포착할 수 없어 ‘작전 투입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글로벌호크는 최신형인 블록60까지 나와 있는데 미국이 한국에 수출을 승인한 것은 블록30이다. 글로벌호크의 경쟁기종인 미 에어로바이런먼트사의 글로벌옵저버는 아직 연구개발 중이라 실전에서 검증되지 않은 단점이 있다.
김광수기자 rollings@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