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창 전 금융감독원장과 아시아신탁, 그리고 부산저축은행 사이에는 정말로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새로운 의혹들이 하나 둘씩 계속 불거지면서 김 전 원장 역시 점차 막다른 골목으로 몰리고 있다.
지금까지 드러난 3자 관계의 의혹의 포인트는 대략 두 가지다.
우선 김 전 원장과 아시아신탁의 관계. 김 전 원장은 2007년 아시아신탁 설립 당시 부인 명의로 4%의 지분(4억원)을 출자했다. 이후 2008년3월 금감원장에 취임하면서 이 지분을 처분했다고 주장했는데, 사실은 지인 앞으로 명의 신탁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김 전 원장이 금감원장 재직시절에도 아시아신탁과 이해관계를 갖고 있었음을 의미하는 대목. 동시에 그는 금융감독책임자가 금융회사 주식을 보유했다는 점에서, 공직자윤리법 위반의혹도 제기된다.
두 번 째는 아시아신탁과 부산저축은행의 금전거래 배경. 아시아신탁과 그 투자회사인 아시아자산운용은 지난해 부산저축은행 유상증자에 각각 90억원과 10억원을 출자했다. 두 회사의 규모로 볼 때 꽤 큰 투자였던 셈이다.
특히 아시아자산운용은 지난해 6월 현재 16억원의 영업손실이 난 상태였는데, 위험이 큰 부산저축은행증자에 참여하는 것은 선뜻 이해가 가지 않는다는 게 금융권의 시각이다. 더구나 부산저축은행 역시 아시아자산운용의 지분을 9%가량 보유한 것으로 드러나, 아시아신탁ㆍ자산운용과 부산저축은행 사이에는 '특별한 커넥션'이 있다는 의혹을 피할 수 없게 됐다.
문제는 김 전 원장의 영향력 행사 여부다. 부산투자은행에 대한 투자판단이 전적으로 아시아신탁ㆍ자산운용에 의해 이뤄졌다면 이익이 나든 손실이 나든 해당회사만의 문제로 끝나겠지만, 김 전 원장이 당초 알려진 것과는 달리 원장 취임 후에도 명의신탁 형태로 아시아신탁과 이해관계를 유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그 역할에 대한 의혹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의혹은 ▦아시아신탁ㆍ자산운용의 부산저축은행 증자 및 투자금 회수과정에 김 전 원장이 영향력 혹은 정보를 제공했는지 ▦은진수 전 감사위원 등으로부터 비호청탁을 받은 부산저축은행을 위해 일련의 역할을 했는지 등이다.
김 전 원장이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어 결국은 검찰수사를 통해 밝혀질 수 밖에 없는 상황. 김 전 원장에 대한 소환방침을 정한 검찰 역시 이 부분을 중점적으로 들여다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대혁기자 selected@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