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칠곡군 왜관읍 미군 캠프 캐럴의 고엽제 매립의혹을 밝히기 위한 한미공동조사단의 조사가 2일 시작됐다. 한국측 16명, 미국측 10명으로 구성된 공동조사단은 이날 퇴역 주한미군들이 고엽제 매립지로 지목한 헬기장에 지하투과레이더(GPR)를 투사하고 기지 내 관정에서 지하수를 채취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하지만 GPR의 탐사심도가 논란이 됐다. 미 극동공병대 관계자는 "고감도 센서를 부착할 경우 15㎙ 깊이까지 탐침이 가능하지만 테스트 결과 목표심도 10㎙가 바람직한 것으로 나왔다"고 밝혔다. 한국측 조사단원인 송필각 경북도의회 부의장은"헬기장이 원래 낮은 지대였는데 높였다는 주민들의 증언이 있다"며 "더 깊이 측정해야 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존 D 존슨 미 8군사령관은 "1979년 사진 확인결과 지금과 지형이 정확히 일치하고 계곡과 산은 없었다"고 말했다. 이날 레이더탐사를 진행한 헬기장 지역은 넓이가 1만4,400㎡의 직사각형 형태로 이 일대를 훑는데 4일 가량 걸릴 전망이다. 조사단은 레이더조사를 완료하고 결과를 해석하는 작업을 21일까지 마칠 방침이다. 1979~80년 유해물질이 반출된 D구역은 15일부터 조사를 시작할 계획이다.
한편 D구역에 있던 오염물질이 이미 해외로 반출됐다는 일부 언론의 보도에 대해 존슨 사령관은 이날"캠프 캐럴 화학물질이 해외로 반출됐다는 사실에 대해 확인된 것이 아직 없다"고 말했다. 그는 "과거 캠프 캐럴 화학물질을 '(기지내에서) 이동 처리했다'는 기록은 있으나 그 화학물질이 어디로 갔는지에 대해서는 아무런 정보가 없다"며 "한국 밖으로 나갔는지 여부도 아직 모른다"고 덧붙였다.
환경단체들은 일단 미군측의 단독조사가 아니라는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했으나 '레이더조사 후 토양조사'라는 조사방식에는 의구심을 표시했다. 한광용 녹색연합 자문위원은 "GPR은 드럼통의 존재여부는 탐지할 수 있지만 땅속에 스며든 화학물질을 탐지하지는 못한다"며 "드럼통의 유무가 아니라 화학물질로 인한 토양의 오염여부 파악이 중요하므로, 매립의혹지역의 토양을 격자형태로 300~400곳이건 시추 분석하는 작업을 서둘러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화학물질 매립의혹이 제기된 경기 부천시 옛 미군부대 캠프 머서(현 육군 1121공병부대 주둔) 부지에서도 민ㆍ관ㆍ군 공동조사단이 첫 현장조사가 진행됐다. 공동조사단은 오염 개연성이 있다고 판단된 기지 내 주차장 공터에 전기비저항탐사(땅에 전류를 흘려보내 지하 물질의 정보를 얻는 탐사)작업을 참관했다. 또 고엽제 매립뿐 아니라 핵사고가 발생했다는 퇴역 주한미군의 증언이 나온 강원 춘천시 캠프 페이지에서도 현장설명회가 진행됐다. 이 자리에서 국방부 관계자는 "이미 미군으로부터 반환 받아 환경정화사업이 진행 중이지만 추가 의혹 부분에 대해서도 굴착 등 재조사를 적극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서울시는 7일부터 30일까지 용산기지 주변 6곳 등 미군기지 주변 10개 관정에서 지하수를 채취해 농약성분이나 휘발성 유기물, 다이옥신 등이 검출되는지를 검사할 예정이다.
칠곡=공동취재단ㆍ이왕구기자 fab4@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