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내 각 세력이 7∙4 전당대회 경선 룰을 두고 뚜렷한 시각차를 드러내고 있다. 각자 계산법이 달라 향후 비상대책위원회 논의 과정에서 상당한 진통을 예고하고 있다.
당권ㆍ대권 분리 문제가 가장 큰 논란이다. 당장 ‘투 톱’부터 의견이 다르다. 정의화 비대위원장은 13일 “차기 대선주자들이 당권ㆍ대권 분리조항 때문에 당 대표에 출마하지 못한다면 그 길을 열어줄 필요는 있다”며 “지금은 제왕적 총재 시절과 다르다”고 말했다. ‘대선 후보는 대선 1년6개월 전 당직에서 물러나야 한다’는 조항을 완화할 필요가 있다는 뜻이다. 그러나 황우여 원내대표는 “당권ㆍ대권 분리는 일종의 대선 관련 룰이어서 손대기가 대단히 어렵다”며 “(대선후보가 당권을 가지면) 공정성 문제도 있다”고 부정적 입장을 밝혔다.
특히 친이계와 친박계의 생각이 나뉜다. 대체로 친이계는 완화, 친박계는 현행유지 쪽이다. 이는 ‘박근혜 역할론’과 맥이 닿아 있다. 친이계는 당이 비상상황인 만큼 박 전 대표 등 당의 실력자가 당 대표로 전면에 등장해 내년 총선을 이끌어야 한다는 생각이다. 하지만 친박계는 박 전 대표의 조기 등판은 실익이 없다는 판단이다.
전당대회에서 투표할 대의원 숫자를 늘리는 문제도 세력 별로 생각이 다르다. 소장파들은 가능한 많은 대의원들이 투표하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전당원 투표제까지 말한다. 이면에는 자신들이 내세우는 후보의 당선 가능성을 높이려는 의도가 깔려 있다. 대의원 수를 늘릴수록 줄 세우기와 대의원 동원 등 조직선거가 어려워진다. 대신‘바람’의 위력은 커진다. 조직에 약한 소장파들로선 대의원 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좋은 셈이다.
반면 당 조직을 상당부분 장악하고 있는 친이계 입장에선 대의원 수를 늘리는 게 달가울 리 없다. 가능하면 현행 1만명 수준을 유지하고 싶어한다. 하지만 선거인단 확대 방향에 대해선 당 안팎의 공감대가 커서 마냥 반대하기는 어려울 것이란 관측이다.
대표와 최고위원을 분리해 뽑을지, 현행대로 같이 뽑아 1등이 대표가 되는 방식이 좋은지에 대해선 계파별 선호가 분명히 나뉘지 않는다. 다만 소장파들이 분리 선출을 주장하고 있다. 분리 선출해야 표 결집이 용이하다는 판단에서다.
정녹용기자 ltrees@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