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앞으로 다가온 4ㆍ27 재보선의 가장 큰 변수는 세대별 투표율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 무성하다. 선거 때마다 세대별 투표성향의 차이가 점차 뚜렷해지는 현상 때문이다. 그래서 재보선에 나선 각 후보 진영은 자신을 지지하는 세대의 투표율을 높이려고 안간힘을 써 왔다.
민주정치에서 유권자의 투표가 얼마나 중요한가는 새삼 강조할 필요도 없다. 기권도 참정권의 소극적 실현 방법이라는 주장도 있지만, 참정권의 적극적 성격으로 보아 마음에 드는 후보가 없더라도, 조금이라도 덜 싫은 후보에 표를 던지는 것이 그냥 외면하는 것보다 정치 변화와 발전을 부를 확률이 높다. 자주 거론되는 '표의 등가성'실현을 위해서라도 골고루 높은 투표율이 낫다. 한때 지나치게 높은 투표율이 후진적으로 비치며 냉소를 산 적도 있지만 최근에는 안정적 투표율이 오히려 선진국의 징표인 것처럼 여겨진다.
경제개발협력기구(OECD)가 최근 발표한 사회지표 평가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국회의원 선거 투표율은 46%(2008년 총선 기준)로, 34개 회원국 가운데 가장 낮았다. 1~3위를 기록한 호주(95%), 룩셈부르크(92%), 벨기에(91%)의 반쪽이고, OECD 평균(70%)보다도 한참 낮다.
전문가들은 다양한 요인을 든다. 우선 젊은 세대의 정치 무관심이나 혐오증이다. 또 수도권 등 대도시 주변에 밀집한 인구 상당수가 주거지와 경제활동지가 달라 주거지역 유권자라는 정체성 의식이 흐릿하다. 풀뿌리 단계에서 민주주의가 익어 온 구미 선진국 선거가 지역밀착형 인물 중심으로 치러지는 반면 한국은 정당 중심으로 치러져 무관심을 보탠다. 더욱이 재보선 투표일은 임시공휴일이 아니어서 직장인들이 투표하기가 쉽지 않다.
경기 성남 분당을 일부 유권자들이 출퇴근 시간 조정이나 부분 유급휴가를 요청, 두 시간 휴가 주기에 동참한 업체가 여럿이라는 소식이 반가운 이유다. 참정권의 실질적 보장을 위해 선관위만이 아니라 민간기업도 할 수 있는 일이 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에 충실한 모습이기도 해서, 망설일 이유가 없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