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대지진과 쓰나미가 발생한 지 한 달이 지났다. 거대한 지진해일이 초래한 참사와 원전 사고는 대자연의 위력 앞에 인간이 얼마나 나약한 존재인지 새삼 실감케 했다. 어느 나라보다 지진과 쓰나미 대비가 철저하다는 일본의 명성도 순식간에 추락했다.
쓰나미는 폭풍으로 발생하는 폭풍해일보다 훨씬 강력하다. 바람이 만드는 파도는 바다 표면에서만 일렁이지만, 쓰나미는 바다 밑바닥부터 표면에 이르는 바닷물 전체가 출렁이기 때문이다. 쓰나미의 80% 이상은 태평양지역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한다.
조기경보시스템 서둘러야
우리나라는 일본이 태평양을 가로막고 있어 쓰나미의 직접적인 피해는 거의 없는 편이지만 절대적인 안전지대는 아니다. 최근의 피해 사례로는 1983년 일본 혼슈 아키다현 서쪽에서 발생한 진도 7.7 지진에 따른 쓰나미가 약 1시간 30분 뒤부터 묵호 속초 포항 등 동해안 주요 항구에 밀어닥쳐 5명이 숨지는 등 큰 피해를 겪었다.
우리 동해의 북동쪽 일본측 해양지각이 존재하는 곳에서 자주 지진이 일어나는 점을 감안해 동해안 항만지역과 공단지구에 지진해일 조기경보시스템을 조속히 구축하여야 한다.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위험 연안지역 141곳의 해일 높이, 침수 범위, 대피 정보 등을 알려주는 침수예상도 제작도 서둘러야 한다. 지진해일뿐 아니라 초강력 태풍과 기습호우 등의 기상이변이 자주 발생하는 만큼, 방파호안과 방재언덕 등 항만시설의 안전설비 보강과 연안후퇴선 및 방수물 설치 등 취약지역별로 특화된 대책 마련도 시급하다.
일본 대지진과 쓰나미 피해에서 무엇보다 치명적인 것은 후쿠시마 원전사고로 인한 방사능 유출이다. 지금 당장은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할 것이라는 게 다수 전문가의 판단인 만큼 크게 불안해 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방사성 물질의 위험성을 고려할 때 장기간의 지속적인 관측이 반드시 필요하다.
특히 방사성 물질의 유입으로 인한 해양오염에 대한 국민의 불안을 불식시키기 위해 해양환경에 대한 긴급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방사성 영향이 장기간에 걸쳐 나타날 가능성에 대비하여 우리나라 연안 334곳과 근해 40곳에 있는 해양환경측정망을 활용하여 해양 영토에 대한 과학적이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해야 할 것이다.
인류의 기술이 눈부시게 발달하였지만, 기술력만으로 자연의 불확실성을 극복할 수 없다는 사실을 일본의 대지진과 쓰나미는 알려주고 있다. 자연 재난을 치밀하게 관측하고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게 된다 하더라도 자연의 불확실성을 100% 제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지진과 쓰나미에 대한 국민의 이해를 증진시키고 피해 발생시 행동요령을 널리 알리기 위하여 교육이나 홍보를 적극적으로 실시하는 일도 매우 중요하다. 이는 지진과 쓰나미로 인한 피해를 줄이는 것은 물론, 이웃나라에서 일어난 대재앙을 보며 느끼는 과도한 불안감을 극복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일본 대재앙 교훈 삼기를
우리 국민성을 폄하하는 말의 하나가 망각증이다. 성수대교와 삼풍백화점 붕괴사고 등 대규모 재난과 사건이 있을 때마다 대책 마련에 법석을 떨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곧 잊고 지낸다. 이제는 이웃 일본의 대재앙과 그 교훈을 잊지 않고 우리의 재난 가능성에 철저히 대비하는 정부와 국민의 노력이 필요하다. 그 것이 우리 자신과 미래 세대의 안녕과 번성을 위한 길이다.
곽인섭 해양환경관리공단 이사장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