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열린 제12기 4차 최고인민회의 결과를 보면 김정은 후계체제 구축의 징검다리 역할을 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관심이 집중됐던 김정은의 국방위원회 제1부위원장 선출은 무산됐지만 후계 체제 구축 관련 인사 개편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지난해 9월 노동당 대표자회에서 최룡해 당비서, 리영호 총참모장과 함께 김정은 후견그룹으로 부상한 박도춘 당 비서가 국방위 위원으로 새롭게 진출했다.
리명수 신임 인민보안부장은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측근 인사이나 강력한 주민통제를 통해 김정은의 후계 구도를 뒷받침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김정은의 위상은 크게 달라지진 않을 것으로 관측된다. 최고인민회의가 1년에 2차례 열리는 경우도 있어 차기 회의 때 제1부위원장에 올라설 가능성도 있다. 국방위가 별도 회의를 통해 공식 직함을 부여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전문가들은 김정은 후계체제 연착륙 여부는 그가 군부를 얼마나 빨리 장악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본다. 15일 김일성 국가주석 생일과 25일 조선인민군 창건일(79주년) 사이에 북한 군부의 대대적인 물갈이 인사가 있을 것이고, 이 때 군 개편 결과가 김정은 체제의 견고함 정도를 반영할 것이다.
김정은은 후계 정지 작업을 어느 정도 마무리한 뒤 대외적으로 후계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베이징으로 향할 것 같다. 중국 지도부와 새로운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북중 경제협력사업을 추진해 경제부문 업적도 쌓을 것이다.
김정은 후계체제 구축은 남북관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하지만 속단은 이르다.
북한은 후계구도를 튼튼히 한 뒤 적극적으로 대외 관계 개선을 추진할 공산이 크나 추가 핵실험이나 미사일 발사에 나설 수도 있다. 국지적 군사도발 등을 감행할 경우 6자회담 재개나 남북관계 개선은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다.
유인호 기자 yih@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