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나마 갈수록 줄어
경기 성남시 분당에 살고 있는 A(38)씨는 지난해 12월을 생각하면 분통이 터진다. 자정 무렵 임신 34주 만에 양수가 터져 조산을 해야 할 상황. 아이도 항문기형 등 진단을 받은 터라 수술이 시급했다.
하지만 당장 응급수술을 할 곳을 찾지 못했다. 조산아를 대상으로 한 집중치료실(중환자실)도 갖춰진 곳이 없었다. 결국 2시간 넘게 이곳 저곳을 다닌 끝에 서울까지 와야 했다. A씨는 "유명 대학병원마저도 여유 있는 인큐베이터가 없다는 이유로 거부하더라. 화가 나면서도 한숨밖에 안 나왔다"고 말했다.
해마다 조산ㆍ저체중 신생아 숫자는 늘고 있지만, 이들을 위한 의료 시설은 오히려 줄어들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신생아중환자실 병상 수는 전국에 1,344개. 이마저도 서울 475개, 경기ㆍ인천 289개로 수도권에 집중돼 있다.
신생아중환자실이 운영되는 의료기관도 90여 곳에 불과했다. 이는 2005년과 비교해도 의료기관은 50여 곳, 병상 수는 400여 곳이 줄어든 수치다. 한 소아과 전문의는 "돈이 안 되니 아예 병상을 줄이거나 중환자실을 없애는 것"이라고 했다.
피해는 고스란히 산모와 아이들에게 전가된다. 지난해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신생아중환자실 실태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2009년 7월 2주간 고위험군 산모 400명 중 83명이 주거지역 내 의료기관에서 다른 시ㆍ도로 옮겨 치료를 받았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대부분 병상이나 중환자실의 장비가 부족하다는 게 이유였다"고 설명했다.
소아를 전문으로 하는 외과 전문의 부족도 문제다. 지난 1월 전북에서 장에 이상이 있는 영아가 제때 수술을 받지 못해 사망한 사건도 결국은 전문의가 없어서 생긴 인재(人災)다. 한 대학병원 소아과 전문의는 "의대생들의 외과기피 현상으로 아기 수술을 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이 부족한 게 현실"이라고 꼬집었다.
정부는 올해 16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신생아중환자실 병상 50개를 늘리기로 했지만 턱없이 부족한 대책이다. 보건복지부 보고서가 필요하다고 추산한 병상은 최소 1,865개 이상이다.
남상욱기자 thoth@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