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수산식품부가 어제 유정복 장관 주재로 '농식품 안전성 확보대책 추진상황'을 점검하고 국내산 농산물에 대한 방사능 안전검사 및 관리계획을 수립해 시행키로 했다. 검사 결과를 인터넷에 공개하고, 방사능 오염 검사 및 정보 수집 등을 담당하는 '방사능 안전관리 신속대응팀'을 구성해 운영하는 한편, 4월 한달 간 동해안과 제주도 지역의 오염실태를 조사한다는 계획이다.
일본 후쿠시마(福島) 원자력발전소 사고에 따른 방사능 유출로 먹을거리를 통한 2차 공포가 급격히 확산되는데도 정부의 대응이 너무 안이하지 않느냐는 비판을 수용한 것으로 보인다. 현재 일본 원전 주변 지역은 체르노빌 핵참사를 능가하는 오염 상태를 보이고 있고, 방사성 물질이 계속 쏟아져 나오면서 대기와 바다, 음식물이 심각하게 오염되고 있다.
정부는 편서풍의 영향으로 국내에는 방사성 물질의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큰소리 쳤지만, 일본에서 날아온 것으로 추정되는 방사성 물질 크세논(Xe)133이 최근 강원도에서 검출됐다. 일본에서 누출된 방사성 물질은 중국 미국에서도 검출되는 등 풍향과 상관없이 전 세계로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특히 원전 인근 해역에서 기준치의 1,850배가 넘는 요오드가 검출되는 등 죽음의 바다로 변하고 있는 만큼, 일본 근해와 가까운 울릉도 독도 주변과 제주도 남쪽 해역으로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지 않으리라는 보장이 없다.
유 장관은 "식품은 그 어떤 문제보다도 안전성 확보가 중요하므로 만에 하나 있을 수 있는 상황에 대해서도 방지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맞는 말이다. 방사능 오염에 대한 지나친 불안은 경계해야 마땅하지만, 방사성 물질은 장기간 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만큼 최악의 상황을 가정해 만반의 식품 안전망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그런 점에서 정부가 적극적인 방사능 오염 대책을 강구키로 한 것은 늦었지만 다행스러운 일이다. 일본산 농수산물을 철저히 검역하는 것은 물론, 국내 바닷물과 어패류 등의 시료 채취 분석 대상을 확대하는 등 농수산물의 안전 관리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