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일본 도호쿠(東北) 대지진 발생 이후 센다이(仙台) 총영사관이 주목 받고 있다. 하루 평균 20시간, 김정수 총영사를 비롯한 18명의 직원(자원봉사자 6명 포함)이 교민 보호에 심혈을 기울이며 일본 동북부 지역 교민들의 허브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이 모든 것이 '튼튼한' 영사관 건물에서 비롯됐다는 흥미로운 얘기가 흘러나오고 있다. 한 영사관 관계자는 "지진 당시에도 시내에서 불이 켜진 곳은 우리와 옆의 미야기(宮城)현청 둘 뿐일 정도로 튼튼하게 버텨준 덕분에 수십 명의 취재진과 수백 명의 교민이 대피해 생활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21일 영사관에 따르면 2006년 12월 준공한 4층 규모의 영사관건물은 한국 회사가 설계를 했고, 일본 현지 회사가 건설했다. 김정수 총영사는 "규모 8.0 이상의 지진에도 문제가 없도록 내진설계가 잘 돼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지진으로 도심 내 상당수 건물이 내부 균열 등으로 철거가 계획되거나, 안전진단을 다시 받아야 하는 상황이다.
당초 영사관건물은 시 변두리에 들어설 예정이었다. 하지만 동북부 지역을 총괄하는 만큼 도심에 지어야 한다는 의견이 우세했다. 다행히 제일동포가 운영하는 일본의 한 대기업이 미야기현청과 센다이시청 등에 영향력(?)을 행사해 현재 현청 바로 옆에 위치할 수 있었다. 영사관 관계자는 "미야기현 의원 기숙사로 있다가 이전한 공터였는데 운 좋게 자리를 잡을 수 있었다"고 했다.
건축비는 일본 회사를 택해 절감할 수 있었다. 당시 한국의 S, L사는 5억7,000만엔 정도를 내걸었으나 센다이의 지역건설회사인 H사는 반값 수준인 3억8,000만엔을 제시했다. 영사관 관계자는 "반값에 어쩔 수 없이 일본 회사에 맡겼는데, 효과는 이번 지진으로 증명이 된 셈"이라고 했다. H사는 이 인연으로 도쿄의 한국문화원도 지을 수 있었다.
또 전체설계는 한국 회사가 했지만 내진 부분은 일본 전문업체의 자문을 받았다. 영사관 관계자는 "내부에 발전기가 있어 정전 시에도 자체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만에 하나 방사능 오염 등에도 대비해 대피장소도 마련돼 있다"고 설명했다.
센다이(미야기현)=남상욱 기자 thoth@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