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청장에 현지답사^공동연구 등 제의
북한이 17일 백두산 화산 문제를 협의하자고 우리측에 제의하고 나서 그 배경이 주목된다.
통일부는 이날 북측이 지진국장 명의로 "백두산 화산 공동연구와 현지답사, 학술토론회 등 협력사업을 추진시켜 나가기 위한 협의를 진행하자"는 내용의 전통문을 우리측 기상청장 앞으로 보내왔다고 밝혔다.
이에 정부도"북측의 제의에 대해 남북 간 협력이 필요하다는 인식하에 이를 검토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백두산 화산 문제를 매개로 남북 당국간 회담이 조만간 개최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북한은 2007년12월 열린 남북 보건의료ㆍ환경보호협력분과위원회 제1차 회의에서 백두산 화산활동 공동연구를 제의한 적이 있다. 하지만 이후 남북관계가 경색되면서 후속 논의로 이어지지는 못했다. 이후 백두산 화산 문제를 두고 남북은 머리를 맞댄 적이 없다. 국가정보원 원세훈 원장은 지난해 10월 국정감사 답변에서"북측에 (백두산 화산 폭발 문제를) 논의를 하자고 했지만 답변이 없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지난해부터 일부 전문가들이 백두산 화산 폭발 조짐이 뚜렷하다는 주장을 내놓으면서 백두산 화산 문제는 다시 주목 받기 시작했다. 부산대 윤성효 교수는 지난해 대한지질학회 발표를 통해 "백두산 화산 폭발의 징후가 뚜렷하고, 폭발시 그 크기는 아이슬란드 화산의 10배 규모가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런 가운데 일본 도호쿠(東北) 대지진으로 백두산 화산 폭발에 대한 관심이 다시 커졌다. 북한이 백두산 화산 공동연구를 먼저 제안하고 나선 것은 이런 사정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하지만 대북 전문가들은 북한의 뜻이 단순히 백두산 화산 문제에 대한 협의에 있다기보다는 이를 계기로 남북대화를 하자는 메시지를 보낸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실제로 북한은 지난달 9일 당 기관지 노동신문을 통해 "천지 일대의 지각 변동 등이 지난해와 차이가 없고, 동물의 활동 등이 정상"이라며 백두산 화산 폭발 가능성을 일축했었다.
10세기 이후 역사기록이 전하는 백두산 분화는 모두 16차례로 939년부터 시작해 가장 최근엔 1903년 분화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유인호기자 yih@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