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가 7일자부터 4회에 걸쳐 보도한 '곪은 성역, 교수사회' 시리즈는 으레 그러려니 했던 대학사회의 일들이 심각한 사회적 질병으로 변했음을 경고하고 있다. 최근 서울대 음대 교수들의 일탈과 비리가 알려졌지만 그것은 오히려 약과였고 빙산의 일각에 불과했다. 우리 사회는 그 동안 대학교수의 전문성을 인정하고 자율성을 존중한다는 차원에서 비교적 관대하게 용인해왔으나 더 이상 무소불위의 교수권력이 대학을 멍들게 내버려 둘 수 없다는 공감대가 확산되고 있다.
교수사회의 곪은 정도가 가장 심각한 대목은 학생들에 대한 횡포다. '상전 중 상전, 학생을 머슴 부리듯'이라는 기사의 제목이 단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머슴처럼 부리며 집안 일에 동원하는 정도라면 견딜 수 있다는 학생들의 하소연이 안타깝다. 교수 개인행사에 경비를 부담시키고, 기본 업무인 학업평가 논문심사 등에 금품을 요구하고, 자신의 강의와 논문을 위해 학생들의 노력과 재능을 갈취한다는 것이다. 그들이 내세우는 사제동행(師弟同行)의 명분은 학생들을 옭아매기 위한 수단에 불과하다.
학생들만이 아니다. 임시직 강사들에 대한 핍박도 상상 이상이다. 교수신문 조사에 따르면 시간강사의 46%가 '교수로부터 부당한 요구를 받았다'고 토로했으며, 이들 중 81%가 불이익을 우려해 부당한 줄 알면서도 따랐다고 한다. '집요한 보복'이 두려워 이런 사실을 밝히기 꺼린다니 교수사회가 얼마나 깊고도 조직적으로 곪아 있는지 짐작할 수 있다.
여느 집단과 마찬가지로 교수사회의'곪은 환부'는 일부이며 소수일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런 환부가 도려내지지 않고 고질이 된다면 대학과 국가의 미래는 암담하다. 취재가 계속되자 학생과 시간강사, 심지어 학부모들의 제보와 성토가 봇물을 이뤘다. 초ㆍ중ㆍ고 교사들의 횡포와 비리는 제어하고 감독할 수단이라도 있지만, 대학의 경우 속수무책이라는 하소연이 이어졌다. 독립성과 자율성을 교수사회가 스스로 허물고 있다면 타율적ㆍ강제적 수단이라도 강구해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