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도스 공격에 대한 정부의 대응이 여전히 미흡하다.
특히, 청와대와 국가정보원, 외교통상부, 통일부, 국방부 등을 포함한 한 나라의 대표 기관이 2009년 7ㆍ7 디도스 대란에 이어 또 다시 사이버 테러를 당했다는 점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해당 기관들의 홈페이지가 일정 시간 동안 다운됐던 2009년 7ㆍ7 디도스 대란 당시에 비해, 이번 디도스 피해가 크지는 않았지만 국가 기관이 공격을 당했다는 사실만으로도 불안감이 조성되고 있다는 점에서다. 김희정 청와대 대변인은 청와대에 대한 디도스 공격과 관련, "정상적인 트래픽보다는 많은 수준의 공격이었으나 완전히 공격을 차단해 단 1초도 문제없이 정상운영을 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임종인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는"계속해서 국가 기관을 노리고 들어오는데, 번번히 정부 기관이 공격을 당하고 있다는 것 자체가 문제가 될 수 있다"며 "사후 조치에 따른 피해 최소화 보다는 사전 예방에 주력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 문제 해결을 위해 방송통신위원회 등 주무 부처만 나설게 아니라, 범국가적인 차원에서 디도스 사태를 다뤄야 한다는 지적도 내놓았다. 임 교수는 "현재 악성코드나 바이러스의 진원지의 대부분이 중국으로 지목되고 있다"며 "외교통상부 등과 같이 협조해서 국가적인 과제로 사이버 문제를 다룰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런 지적에 대해 주무부처인 방송통신위원회도 공감하는 분위기다. 아울러 현재 상임위원회에 계류 중인 악성 프로그램 방지를 위한 좀비PC법(2010년 11월 발의ㆍ현재 상임위원회 계류)의 조속한 통과 등을 비롯한 정책적인 노력도 지속해 나가겠다는 복안이다.
방통위 관계자는"이번 공격대상에선 빠졌지만 영세 중소 기업들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사이버대피소도 운영하고 디도스 장비 확보 및 전용 백신 제작 배포 노력 등도 병행하고 있다"며 "앞으로 일어나게 될 제3의 디도스 공격 피해 사전 예방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허재경기자 ricky@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