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가축 매몰로 인한 환경오염 우려가 증폭되면서 정부가 대책에 부심하고 있다. 구제역이 전국으로 확산돼 소ㆍ돼지 320여만 마리를 4,400여 곳에 매몰한 상황이라면 한반도 어느 곳도 그로 인한 환경오염의 영향권에서 벗어나 있을 수 없다. 대부분의 축산농가가 강이나 하천에서 멀지 않은 곳에 자리잡을 수밖에 없고, 매몰 처분이 단기간에 광범하게 이뤄졌기 때문에 수질과 토양의 오염에 대한 우려도 커질 수밖에 없다.
어제 정부가 다짐한 대책은 일단 매몰지의 환경오염 우려를 다소 덜게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행정안전부와 농림수산식품부, 환경부의 합동브리핑에 의하면 현재 진행 중인 매몰지 관리실명제를 철저히 이행하고, 일일점검은 물론 피해 우려가 제기된 곳에는 IT센서를 설치해 24시간 감시하겠다는 내용 등이다. 이런 감시체계를 앞으로 3년간 집중 시행하겠다는 약속도 했다. 정부 대책과 함께 광역지자체 단체장들의 판단도 공개됐는데 하천과 상수원 등에서 직접피해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고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민들의 우려가 가시지 않는 이유는 매몰지 선정과 관리가 부적절한 경우가 적잖이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축사 조성이 불가능한 상수원보호구역은 매몰지가 거의 없다지만 인근 수질보전 특별대책지역을 사용한 경우가 77곳이나 확인됐고, 경사지나 습지에 매몰해 당장 차수벽이나 빗물배수로 등을 설치해야 하는 경우도 300여곳에 이르고 있다. 다른 곳에도 저류조 보완이나 침출수 유공관, 가스배출관 등의 보완이 제기됐다. 정부의 철저한 실천이 따라야 할 이유다.
전국의 매몰지를 제대로 감시ㆍ감독하려면 국민 협조를 구하는 방안도 궁리해야 한다. 문제 소지가 있는 매몰지를 적극 신고토록 당부하고, 사후처리 결과를 공개하는 시스템도 갖춰야 한다. 일부 정치권에서 지나치게 낙관적인 견해를 갖는 것도 피해야 하지만, 장티푸스나 탄저병이 유행할 수 있다는 식의 무책임하고 허황된 발언도 삼가야 한다. 구제역 극복은 물론 이로 인한 환경오염 방지에도 국민 모두의 힘과 지혜가 필요하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