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따라 금리를 인상한 중국에 이어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들이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가속도를 내고 있다. 주요 외신들은 한국 대만 등이 금리 인상과 통화 절상을 이용, 물가잡기에 나설 것이라고 전망했다.
9일(현지시간)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기준금리를 0.25% 포인트 인상한 중국에 이어 한국 대만 등도 인플레이션 견제를 위해 자국통화의 가치절상, 금리 인상 등의 수단을 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골드만삭스의 애널리스트 피오나 레이크는 WSJ에 "(아시아 각국) 정책 당국의 인플레이션 견제를 위한 마지막 수단은 자국 통화의 가치절상"이라며 "한국 인도네시아 대만은 인플레이션을 막으려고 통화가치를 절상하려는 움직임이 완연하다"고 설명했다.
통화 절상은 곧 외화 환율이 낮아진다는 의미여서 수입 물가를 낮추어 물가를 안정시키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수출업자 입장에서는 수출경쟁력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한국과 말레이시아의 외환 당국은 너무 급격히 통화가치가 상승하는 것을 막기 위해 시장에 개입하고 있다고 WSJ는 분석했다. 그동안 미국은 중국과 한국의 통화가 너무 저평가되어 있다며 절상 압박을 해왔기 때문에 아시아 국가의 통화절상은 무역수지를 둘러싼 미국과의 긴장을 낮출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함께 중국발 금리 인상 바람은 전세계로 확산될 전망이다. 한국은 곧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고 앞서 인도네시아 중앙은행은 4일 금리 인상을 단행했다. 아시아 국가들의 금리 인상에는 2008년 외환위기 이후 이어져 온 초저금리 상황을 바꿀 필요성이 반영돼 있다.
아시아뿐만 아니라 브라질과 칠레도 인플레 압박이 심화하고 있고 이들 중앙은행의 금리 인상 부담도 커지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은 8일 보도했다. 블룸버그는 유럽중앙은행(ECB) 역시 현재로선 저금리 기조를 유지하겠지만 인플레이션 압박이 확산될 조짐이 있다면 통화 당국이 개입할 것이라고 전했다. 국제 농산물, 원유가 급등으로 세계 각국이 소비자 물가 폭등 몸살을 앓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인플레이션 가능성은 여전하다는 분석도 나왔다. 영국의 파이낸셜타임스는 "이번 조치로 중국의 인플레이션이 약간 늦춰지겠지만 올해 내내 안정된 수준은 아닐 것"이라며 "식량 가격을 잡기 위해 금리를 올렸지만 결국은 시장을 교란해 장기적으로는 상황을 악화시킬 수 있다"고 전망했다.
정상원기자 ornot@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