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시 조사기관 퓨처플랜이 지난해 주요대학 합격자 중 재수생 비율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성균관대의 재수생 합격자 비율이 무려 61.3%에 달했다. 중앙대(54%) 한양대(53.6%)도 재수생 합격자 비율이 절반을 넘어섰다. 반면 이들 대학보다 합격선이 다소 높은 연세대(43.3%)와 고려대(47.4%)는 재수생 합격 비율이 더 낮았다. 특히 서울대의 재수생 합격비율은 24.5%로 크게 떨어졌다.
서울대의 재수생 합격비율이 낮은 것은 지역균형 선발이 많고, 내신 반영 비율도 상대적으로 높게 책정돼 있는 등 입학전형 방식이 사립대와 달리 재학생에게 유리하기 때문이다. 반면 주요 사립대학들은 내신 등급별 격차를 되도록 줄이면서 사실상 수능성적이 당락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전형방식을 고수하고 있어 재학생보다 더 긴 시간 수능을 공부하는 재수생이 유리할 수 있다. 성균관대 김윤제 입학처장은 "졸업생 취업률 등 대학의 객관적 실적이 재수생 지원을 늘리는 것으로 판단한다"며 "재수생은 한번 시련을 겪어서인지 대학 적응도 재학생 합격자보다 빠른 면이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 같은 사립대학의 재수생 '비교우위'도 점점 사라지고 있다. 사립대도 정부의 정책에 따라 점점 더 정시모집보다는 입학사정관제 등 수시모집의 비중을 늘리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대학입시는 재수생에게 불리한 방식으로 바뀌고 있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능 점수를 더 올려 이 같은 불리함을 이겨낼 것'이라는 재수생의 의지를 꺾기에는 역부족인 것 같다.
하지만 의지가 성공을 보장하지는 않는다는 게 입시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학교별 전공별로 다른 전형 방식 등을 감안해 사전에 치밀한 전략을 세우지 않으면 공연히 1년을 허송하는 결과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이석록 메가스터디 평가이사는 "재수생이 강세를 나타내는 정시 모집은 물론, 논술 비중이 높은 수시 모집도 재수생이 지난해보다 점수를 높일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정영오 기자 young5@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