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정보 당국이 18일 북한이 6개의 정치범수용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들 수용소에 모두 15만4,000여명이 수감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6개의 수용소는 평안남도 개천(14호관리소)ㆍ북창(18호) 수용소와 함경남도 요덕(15호) 수용소, 함경북도의 화성(16호)ㆍ청진(25호)ㆍ회령(22호) 등으로 파악됐다. 정보 당국 관계자는 이날 "북한의 정치범 수용소는 과거 10개까지 운영됐으나 국제인권단체들이 문제를 제기하자, 북중 국경 인근 수용소들을 일부 폐쇄했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해 1월 국가인권위원회는 북한이 6곳의 정치범수용소를 운영 중이며, 수감자는 약 20만명에 이른다고 추정했었다. 북한은 정치범 수용소를 종신 수감되는 완전 통제구역과, 석방 가능성이 존재하는 혁명화 구역으로 구분해 운영하고 있으나, 열악한 수감 여건과 인권유린 상황은 두 구역 모두 비슷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지금까지 북한은 정치범 수용소 존재 자체를 부인해왔다.
국제앰네스티를 비롯한 인권단체들은 북한이 올해 김정은 후계체제 구축을 위해 정치범수용소를 통한 주민 통제 기능을 한층 강화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북한이 알려진 정치범수용소뿐 아니라 교화소, 노동단련대 등의 다른 수감시설에도 정치범들을 대거 수용할 것이란 예상도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국제사회는 북한의 인권실태 파악에 나서는 한편, 북한에 대한 인권 압박을 서두르고 있다.
먼저 국제 앰네스티는 수감자 유형과 신원을 파악에 나서는 한편 다른 수감시설 전반의 운영실태를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미국과 캐나다 의회는 2,3월 정치범 수용소 출신 탈북자가 참석하는 북한인권 청문회를 여는 등 북한 인권문제에 대한 여론조성과 정책수립을 추진할 예정이다. 영국과 유럽연합(EU)도 의회 차원에서 올 하반기에 북한 인권유린 실태를 폭로하는 청문회 개최를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미국의 북한인권위원회(HRNK)와 영국 세계기독연대(CSW)도 북한 정치범 수용소 문제를 다룰 국제 콘퍼런스를 준비하는 등 국제사회에서 북한 핵과 함께 대북 인권 문제가 핵심 이슈로 등장하는 모습이다.
유인호기자 yih@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