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ㆍ25전쟁 당시 미군에 의한 민간인 희생자가 5,000명 이상이라는 국가기관의 첫 통계가 나왔다.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가 4일 낸 종합보고서에 따르면 전쟁 발발 후 1950년 9·28 서울 수복까지 미군에 의한 민간인 희생사건 141건을 조사한 결과, 4,091명이 숨진 것으로 추산됐다. 141건 중 공중폭격 90건(63.8%)의 희생자가 3,608명에 달했다.
서울 수복 이후에도 미군 관련 사건 31건에서 1,200여명의 민간인 희생자가 발생했을 것으로 보고서는 추산했다. 이를 합산하면 최소 5,291명의 민간인이 미군에 의해 숨진 것이다.
희생자 중에는 여성과 아이, 노인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서울 수복 전 미군에 의한 희생자 중 신원이 확인된 1,218명 가운데 541명(44.4%)이 여성이었고, 10대 미만이 223명(18.3%), 50대 이상이 228명(18.7%)으로 집계됐다. 희생자들은 거주지에서 일상생활을 하거나 가족과 함께 피난을 떠났다가 숨진 사례가 많았으며 일가족이 한꺼번에 몰살당하기도 했다.
보고서는 북한군 병력의 은신처로 의심되는 민간인 마을 초토화, 참전 중공군의 보급선 차단을 위해 벌인 공중폭격 등이 미군에 의한 민간인 희생자 발생의 주 이유라고 분석했다. 서울 수복 이후 사건 31건 중 21건은 1951년 1~2월 지역폭격 또는 초토화작전 폭격 때문에 발생했다. 1951년 1월 발생한 강원 홍천 삼마치고개 사건에서는 이동 중이던 3,000여명의 피난민 사이에 공산군이 섞여있을 것이라는 미군의 판단에 따라 공중폭격이 가해져 수백명이 희생됐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진실화해위 관계자는 "신청 사건에 한해 민간인 희생 통계를 냈지만 미신청 사건까지 포함하면 희생자가 훨씬 더 많을 수 있다"며 "국가기관이 미군에 의한 민간인 희생을 조사해 전국 단위로 통계를 내기는 처음"이라고 말했다.
이태무기자 abcdefg@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