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미발생 지역들도 구제역 확산을 막기 위한 힘겨운 싸움을 벌이고 있다. 특히 예년과 달리 방역이 전국화, 장기화하면서 장비나 물자 확보에 비상이 걸렸다.
아직 구제역 습격을 받지 않은 전북의 김완주 도지사는 27일 "언제든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며 "구제역이 발생한 지역과 같은 수준의 방역 대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도는 우제류의 시도 간 이동 및 거래를 금지했고, 축산농가나 중개상 등을 통한 가축거래도 전면 중단시켰다.
구제역이 발생한 경기 강원 경북 사이에 낀 충북도 바짝 긴장하고 있다. 도는 여주시와 가까운 중부내륙고속도로 감곡인터체인지(IC) 등 3곳에 방역초소를 추가로 설치했고, 가축 관련 차량의 소독 여부를 단속해 과태료까지 부과 중이다. 공공 방역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보고 축산농가를 상대로 방역수칙 준수도 촉구하고 있다.
경북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많은 소를 키우는 전남은 이미 우시장을 폐쇄했고, 도 간 경계도로 27곳에 방역초소를 설치하는 등 강력한 방역 대책을 펴고 있다. 경기 용인시는 이날 산불진화용 헬기를 띄워 전국 최초로 유인 항공방제를 시도하려 했지만 기상 악화로 연기했다.
이미 구제역이 발생한 지역들도 추가 확산을 막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강원 횡성군은 인접 시·군 간 주요 연결도로 10개 노선을 상황 종료 시까지 잠정 폐쇄나 부분 통제하기로 했다. 경기 여주군과 이천시는 방역초소를 늘리는 한편, 공무원 등 추가 방역 인원을 투입하고 있다. 김포시는 민방위대원이 구제역 방역에 자원하면 내년 교육이나 비상소집을 면제해 주기로 했다. 파주시는 일부 축산농가들이 예방백신 접종을 꺼리자 부작용 시 시장가격 보상 등을 담은 사후관리 대책을 마련했다.
우량씨소와 씨돼지를 보급하는 경기도축산연구소 가축연구팀 직원들은 구제역 발생 이후 외출은 물론, 출ㆍ퇴근마저 중단했다. 구제역이 침투하면 돈으로 계산할 수 없는 피해가 예상돼 관사에서만 생활하고 있으며, 사람을 통한 감염을 막기 위해 주로 전화로만 외부와 연락하고 있다.
전국이 구제역 방역 체제로 재편되고 방역 기간도 길어지면서 방역 현장에서는 방역 물자 확보가 새로운 과제로 떠올랐다. 차량하부 소독용 기계식 분무소독기는 갑자기 수요가 늘며 공급이 원활하지 않다. 소독에 필요한 생석회도 공장이 전국적으로 6, 7곳에 불과해 생산량이 부족하다. 방역초소가 급증하고 있는 강원에서는 교통량이 많은 곳에만 기계식 소독기를 설치하고 다른 곳에서는 농업용 등짐 분무기를 사용하는 실정이다.
전국종합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