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안함·연평도… 안보 불안에 잠 못 이뤘다
3월 26일 해군의 1,200톤급 초계함인 천안함이 서해 백령도 앞바다에서 침몰해 승조원 40명이 숨지고 6명이 실종됐다. 민군합동조사단은 현장에서 수거한 어뢰의 추진체를 근거로 북한 잠수정의 소행이라고 단언했지만 어떤 경로로 천안함을 공격하고 달아났는지는 끝내 밝혀내지 못했다. 8개월이 지난 11월 23일 북한은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넘어 연평도를 직접 포격했다. 6ㆍ25전쟁 이후 북한이 남한의 영토를 무력 도발한 것은 처음으로 해병대 병사 2명과 민간인 2명이 숨졌고 국방부 장관이 경질됐다.
■ G20 정상회의 서울 개최
G20(주요 20개국) 정상회의가 11월 11~12일 서울에서 열렸다. G7 국가가 아닌 신흥경제국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세계 경제를 좌지우지하는 G20 회의를 개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아시아 최초로 의장국이 된 한국은 환율, 경상수지, 금융안전망, 개발 등 글로벌 이슈를 주도했다. 글로벌 환율 전쟁의 전운이 감돌던 시기에 열린 이 회의는 환율 전쟁을 사전에 막은 것은 물론 한국의 국제적 위상과 국격을 높였다는 평가를 받았다.
■ 北 김정은 3대 권력세습
북한은 9월27일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셋째 아들 김정은(27)에게 인민군 '대장' 계급장을 달아준 데 이어 9월28일 44년 만에 노동당 대표자회를 열어 김정은을 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에 앉혔다. 김일성-김정일-김정은으로 이어지는 세계 현대사에서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3대 권력세습을 공식화한 것이다. 김정은은 10월10일 당 창건 65주년 기념 열병식 행사 때는 주석단에 모습을 드러내며 자신의 존재를 대내외에 알렸다.
■ 세종시 수정안 최종 부결
이명박 대통령과 정부가 지난해부터 추진해온 세종시 수정안이 올해 최종 부결됐다. 정부는 1월11일 세종시로의 행정부처 이전을 백지화하고 세종시를 '교육과학 중심 경제도시'로 건설하는 수정안을 발표했다. 야당은 반발했고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와 친박계 의원들도 "국민과의 약속은 지켜야 한다"며 수정안에 반대했다. 결국 세종시 수정안은 논란 끝에 6월29일 국회 본회의 표결에서 찬성 105명, 반대 164명, 기권 6명으로 부결됐다. 정운찬 국무총리는 수정안 추진 실패에 대한 책임을 지고 7월29일 사퇴했다.
■ 지방선거 한나라당 완패
이명박 정부 중간평가의 성격을 띤 6ㆍ2 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이 완패했다. 한나라당은 광역단체장 선거에서 서울ㆍ경기 등 6곳 수성에 그친 반면 민주당 등 야권은 한나라당의 텃밭인 경남ㆍ강원 등 10곳에서 승리해 지방권력을 교체했다. 전체 228개 기초단체장 선거에서도 야권은 146곳에서 승리해 82곳에 그친 한나라당을 앞섰다. 그러나 두 달도 안돼 치른 7ㆍ28 국회의원 재보선에서는 한나라당이 민주당을 5대3으로 이겼다.
■ 김연아 金등 스포츠 쾌거
2010년은 '스포츠코리아'의 쾌거로 기억된 한 해였다. 2월 김연아가 밴쿠버 동계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목에 걸며 '피겨 퀸'에 등극한 데 이어 '허정무호'가 꿈에 그리던 사상 첫 원정 월드컵 16강 진출을 일궈냈다. 여자축구 대표팀도 20세 이하 3위, 17세 이하 우승이라는 금자탑을 쌓았고 지소연과 여민지라는 스타를 배출했다. 지난달 열린 광저우 아시안게임에서 한국이 4회 연속 종합 2위를 수성하면서 유종의 미를 거뒀다. 그야말로 밴쿠버에서 광저우까지 '대~한민국'의 함성이 쉼 없이 울려 퍼졌다.
■ 한미 FTA 재협상 굴욕 논란
김종훈 통상교섭본부장은 6월 30일 기자간담회에서 "점 하나도 고치지 않겠다"는 두고두고 회자될 발언을 했다. 5개월 여 뒤인 12월 5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재협상 결과는 180도 달랐다. 자동차를 내주는 대신에 얻은 건 고작 돼지고기와 복제의약품 일부였다. 김 본부장은 "우리의 일방적 양보가 아니라 양측간 이익을 각각 반영한 결과물"이라고 했지만, 반발 여론은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는 분위기. 여당인 한나라당 내에서도 반대 여론이 적지 않아 국회 비준 전망에도 잔뜩 먹구름이 낀 상태다.
■ 계속되는 4대강 사업 공방
현 정부 들어 4대강 논란은 한번도 수그러든 적이 없다. 정부의 대운하 포기 선언에도 불구, 4대강 사업은 야당과 시민단체의 거센 반발에 부딪혔다. 특히 6ㆍ2 지방선거에서 야당후보가 당선된 지방자치단체(경남도)는 정부와 정면 충돌, 사업권 박탈을 둘러싼 법적 공방까지 이어졌고 종교계 역시 4대강 사업 찬반을 두고 홍역을 치렀다. 논란은 결국 새해 예산안 파동으로까지 이어졌다.
그런 와중에도 4대강 공사는 더욱 속도를 내고 있다. 올해 92개 하천사업 중 낙동강 47공구를 제외한 91개에 대해 공사를 시작했고, 공정률은 40%를 훌쩍 넘어섰다.
■ 역대 최악의 구제역 발생
1월 경기 연천ㆍ포천, 4월 인천 강화, 그리고 11월 경북 안동. 한 해에 무려 3차례나 구제역이 발생했다. 특히 연말 구제역은 전국으로 무차별 확산됐다. 안동에서 시작해 예천, 영주 등 경북지역을 휩쓸더니 연천, 파주 등 경기지역을 급습했고, 급기야 청정지역 강원까지 덮쳤다. 역대 최악이다.
하지만 정부는 발생 원인도, 확산 원인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상태. 결국 예방백신 접종이라는 극약 처방을 택했지만, 구제역 추가 확산을 차단할 수 있을지도 미지수다. 초기의 안일한 방역이 화를 키웠다는 비판이 쏟아진다.
■ 총리실 민간인 불법 사찰
국무총리실 산하 공직윤리지원관실은 2008년 민간 기업인인 김종익 전 NS한마음 대표가 이명박 대통령에 대한 비방 동영상을 올린 것과 관련해 김씨를 불법 사찰하고 회사 대표직에서 강제로 물러나게 했다. 총리실은 지난 6월 민주당 신건, 이성남 의원의 의혹 제기로 파문이 일자 한달 뒤 검찰에 수사를 의뢰했다. 검찰은 수사를 진행해 지난 8월 이인규 전 공직윤리지원관 등 관련자들을 기소했다. 그러나 검찰은 이영호 전 청와대 고용노사비서관 등 '윗선'의혹은 제대로 밝혀내지 못했다. 그 후 'BㆍH(청와대) 하명'이라고 적힌 수첩메모와 청와대 행정관의 대포폰 지급사실 등이 드러나 부실 또는 '봐주기' 수사 논란이 일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