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우리금융지주 민영화 중단을 공식 선언한 후 우리금융의 앞길에도 짙은 안개가 깔렸다. 정부는 새로운 매각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묘안 짜기에 나섰지만, 만족스러운 해법 찾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현재 가능한 우리금융 재매각 방안은 ▦블록세일(지분을 일부씩 쪼개 파는 것) ▦기준 완화를 통한 재입찰 ▦수의계약 등 3가지.
이중 가장 가능성이 큰 방안은 블록세일이다. 우리금융 외에 보고펀드를 비롯한 국내외 펀드들이 우리금융 지분 일부 인수에 관심을 보여온 만큼 성사 가능성은 꽤 높은 편이다. 문제는 헐값 매각 논란이다. 공적자금관리위원회 관계자는 “주가가 현 수준(17일 현재 1만4,500원)에 머문다면 불록세일에 나서기 부담스럽다”고 말했다. 이 가격에 우리금융을 매각할 경우 지금까지 회수액을 포함해서 정부가 회수하게 되는 총금액은 11조7,000억원 가량. 우리금융에 투입된 공적자금 원금(12조8,000억원)에도 못 미친다. 이럴 거라면 왜 우리금융에 무리한 경영권 프리미엄을 요구해 판을 깼느냐는 비판까지 감수해야 된다.
정부가 이전보다 완화된 기준을 적용해 재입찰을 시도하는 방안도 가능하다. 완화된 기준을 적용하는 방식은 유효경쟁 지분(25.8% 이상 매수)을 낮추거나, 경남과 광주은행을 분리 매각하는 방안이다. 하지만 이 경우 정부가 최대주주로 남을 가능성이 커 민영화 취지가 퇴색될 수 있고, 지방은행 분리매각 시 우리금융 전체 가치를 떨어뜨릴 수 있다.
수의계약은 정부가 할 수 있는 최후 정책수단이지만, 특혜 논란을 감안할 때 실현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봐야 한다.
결국, 마땅한 해법을 찾지 못한 채 당분간 민영화가 표류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 금융권 관계자는 “당분간 KB금융 등 새로운 인수주체가 등장하거나, 우리금융의 주가가 상승하지 않는 한 민영화를 진행하기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손재언 기자 chinason@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